얼어붙은 기업경기 전망…12月 BSI, 현 정부 들어 최저

입력 2018-11-27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 제공=한국경제연구원)

12월 기업들의 경기전망이 현 정부 들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중화학 공업 중심으로 한 제조업 부진이 주 요인이다.

27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12월 전망치는 88.7을 기록하였다. 탄핵 정국이었던 지난해 2월(87.7) 이후 22개월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BSI 전망치가 100을 웃돌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내다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고, 100을 밑돌면 그 반대다.

12월 전망치는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 전망이 크게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12월 제조업과 중화학 공업 전망치는 각각 82.1, 79.2로 3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부문별 전망치도 고용(100.5)을 제외한 내수(96.8), 수출(95.0), 투자(97.7), 자금(95.9), 재고(103.4), 채산성(93.9) 등 대부분 기준선 이하를 기록하며 부진이 예상됐다.

기업들은 2%대 저성장 고착화 및 금리인상, 민간소비 둔화 등 전반적인 경기 불황이 부정적 경기전망의 주요 이유라고 응답했다.

아울러 한경연은 자동차·조선·철강 등 전후방산업에 파급효과가 큰 기반산업의 지속적인 침체도 경기전망 악화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 5년간 산업별 BSI 전망치를 분석해 본 결과 한국 경제의 핵심 산업인 중화학 공업의 BSI 수치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조선·자동차·철강 등 주력산업의 전망치도 낮아졌다.

11월 실적치는 88.7로 조사돼 43개월간 100선 아래에 머물렀다. 내수(96.8), 수출(97.3), 투자(97.3), 자금(94.8), 재고(104.5), 고용(98.0), 채산성(91.8) 등 모든 부문이 부진했다. 기업들은 “내수부진이 지속되고 있고 대외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어 실적 개선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응답했다.

송원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올해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수출환경 악화와 내수 부진 심화로 인해 자동차, 조선, 철강 등 주력 제조업의 어려움이 가중됐다”고 말했다.

이어 “2019년에도 제조업 위기가 심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우리 경제의 근간인 제조업의 성장 동력 제고를 위한 과감한 규제개혁과 더불어 투자를 유인할 수 있는 기업 중심의 정책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