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깊은 쌍용차 조업 정상화 '산 넘어 산'

입력 2009-08-07 10:01수정 2009-08-07 11: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협력업체 부도 및 휴업으로 부품공급 정상화 한계...정리해고 대상자 선정도 문제

쌍용자동차 노사가 6일 77일만에 날카로운 대립각을 접고 합의점을 찾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향후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어 어떻게 이번 사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쌍용차 회생을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공장 가동을 정상화하는 것이다.

쌍용차 노사는 지난 6일 기자회견을 통해 공장내 시설을 확인해 본 결과, 차량 생산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생산설비의 경우 피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쌍용차 노사는 "최소 2주에서 최장 3주 가량이면 라인을 정상적으로 가동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다음달 15일로 예정된 회생계획안 제출 일정에 따라 청산이 아닌, 계속 기업을 전제로 한 회생계획안을 차질 없이 수립, 기업 회생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파업기간 동안 손실액만 3000억원이 넘는데다 협력업체중 절반 이상이 부도를 내거나 휴업상태여서 정상적인 부품공급이 어려운 만큼 공장 정상화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로 이미 지난달 말까지 점거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대수만 1만4590대,손실액은 3160억원에 이른다. 또한 1차 협력사 32개중 부도나 법정관리중인 곳이 4개 이상이고 25개사는 휴업 상태로 알려졌다.

게다가 노사 협의에서 최대 쟁점 사항이었던 정리해고 문제도 명확한 기준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협의 내용에서는 974명 정리해고 대상자중 52%를 해고하고, 42%를 구제키로 했지만, 어떤 기준으로 대상자를 정할지도 기준이 정해지지 않았다.

사측은 노사가 협의해 결정한다고는 했지만, 사측은 노조가 직접 정해주길 바라고 있는 입장이다.

또 장기간의 파업으로 쌍용차의 브랜드 이미지는 추락했고 판매도 사실상 중단돼 영업망이 취약해 질대로 취약해졌으며, 신차 C200(프로젝트명) 등의 개발 비용과 희망퇴직자들에게 지급할 퇴직금을 충당하기 위한 자금 마련 등 현안 과제가 산적해 상처 깊은 쌍용차가 정상적인 공장가동까지는 상당할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