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직구 급성장하는 사이…역직구 수출 규모는 감소

입력 2024-08-26 12:00수정 2024-08-26 13: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근 10년간 직구 거래액 1.6조→6.7조
역직구는 2019년 고점 찍고 하향세
역직구 하락은 對중국 화장품이 주원인
“유통 부문 경쟁력 강화 위한 정책적 노력 필요”

▲(제공=대한상공회의소)

국내 소비자가 해외 플랫폼 등에서 물건을 구입하는 직접구매(직구) 규모는 최근 10년간 크게 늘어난 반면 해외 소비자가 국내 플랫폼에서 물건을 구입하는 역직구 규모는 2019년 이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7일 발간한 ‘2024 유통물류 통계집’에 따르면 2014년 1조6000억 원이었던 온라인을 통한 해외 직구 규모가 2023년에 6조7000억 원으로 4.1배 늘었다.

반면 해외 직접판매(역직구)는 2014년 7000억 원에서 2019년 6조 원 규모까지 성장했으나, 이후 성장세가 꺾이면서 2023년 1조7000억 원으로까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직구 시장은 의류·패션잡화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면서 퀀텀 점프를 이루었고, 역직구는 K뷰티 관련 품목 판매가 늘어나다 중국 한한령(限韓令)으로 꺾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동일 한국유통학회 회장(세종대 교수)도 “2021년까지만 해도 아마존, 베스트바이 등 미국 쇼핑몰을 중심으로 국내 소비자 이용이 지속해서 증가해 왔다”면서 “알리·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C커머스) 플랫폼의 글로벌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국내 진출이 본격화되었던 2023년부터는 중국 비중이 높아지면서 직구의 성장 폭이 더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종수 한국유통연수원 교수는 “전체 역직구에서 중국 비중이 가장 높은 상황에서 품목으로는 화장품이 성장에 가장 큰 역할을 해온 가운데 2017년 한한령으로 중국 정부가 한국 관광뿐만 아니라 화장품·식품·콘텐츠 구입을 제한하면서 중국 화장품 역직구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고 말했다.

▲(제공=대한상공회의소)

실제 중국 역직구에서 화장품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80~90%에 이른다. 그러나 화장품 품목의 역직구 규모는 2020년 4조9000억 원을 정점으로 큰 폭으로 감소한 이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 전체 역직구도 이와 동일한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10년간 직구 품목 순위는 1위 의류·패션, 2위 음·식료품으로 부동의 1·2위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품목들도 순위에 큰 변동은 없었으며 거래 규모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역직구도 1위 화장품, 2위 의류·패션 품목 순위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K-문화 확산에 따라 음반·비디오를 포함한 뷰티·의류·문화 등 K브랜드 관련 품목의 거래 규모가 커지면서 순위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플랫폼을 통한 역직구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지만 실제 성장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아직 역부족한 상황”이라며 “K콘텐츠, K뷰티, K푸드 등이 한류열풍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경쟁력 있는 품목과 중소기업·소상공인의 플랫폼 진출이 활발해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물류·마케팅을 포함한 종합적인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