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 승차 공유 ‘가속페달’... 국내선 규제 막혀 ‘브레이크’

입력 2018-08-03 10:17수정 2018-08-03 14: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외에서 승차공유 스타트업이 뜨거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지만 국내외의 온도차는 확연히 다르다.

해외에서는 꾸준히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며 성장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이해당사자 간 갈등으로 규제 장벽에 가로막혀 존폐 위기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승차공유와 관련한 해외 업체들은 국내 기업들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하며 영역kt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세계 승차공유 시장 규모는 2016년 약 40조 원에서 2030년 약 300조 원으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이 같은 전망을 내다보고 미래에셋·네이버 아시아그로쓰펀드는 결성 후 첫 투자로 동남아 승차공유 시장 1위 업체인 ‘그랩’에 약 1700억 원의 투자를 결정했다. 그랩은 이뿐만 아니라 SK주식회사, 소프트뱅크 등으로부터 2조1000억 원을, 삼성전자로부터는 기기 공급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이끌어낸 바 있다.

이 외에도 미래에셋은 중국의 ‘디디추싱’에 2800억 원, 카카오인베스트먼트는 미국의 ‘리프트’에 35억 원을 투자하는 등 전 세계 승차공유 사업을 향한 국내 기업들의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투자를 통해 우버와 디디추싱 등 글로벌 승차공유 업체들은 유럽, 동남아 지역 등으로 시장을 넓히며 글로벌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승승장구하고 있는 승차공유 사업이 국내에서는 택시업계의 반대와 각종 규제 장벽에 묶여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뜨거운 감자 신세일 뿐이다.

우버가 국내 시장에 진출을 시도했지만 택시업계에서 집회까지 열며 반발해 진출이 무산된 바 있다. 그나마 승차공유 시장에 진출한 국내 스타트업들도 규제의 덫에 걸려 생사의 기로에 서 있다. 한국판 우버로 불리던 ‘풀러스’는 지난달 김태호 대표이사가 사임하고 직원 구조조정에 들어가 올 초 50여 명에 달하던 직원 수가 지난달 15명가량으로 줄어들었다.

업계에서는 승차공유와 관련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현재 최대 논란거리는 개인 차량을 이용한 운수서비스를 불법으로 규정짓고 있는 내용과 특정 시간대 허가받지 않은 차량으로 영업하는 내용이다. 업계에서는 새로운 사업 아이템이 계속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규제는 시대에 맞게 새롭게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승차공유와 관련된 어느 정도의 규제는 필요하지만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도 기존 시장과 새로운 산업이 공존하는 시대”라며 “새로운 사업이 나오면 새로운 규제안을 내놓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승차공유는 택시가 부족한 일부 시간대에 이를 보완하는 서비스인 만큼 업계뿐 아니라 이용자들은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있고 기존 사업자(택시)들이 채워줄 수 없는 부분이 있다”며 “기존 산업 종사자의 보호도 필요하지만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접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