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대외충격에 견딜 수 있는 능력과 경기부양책 시행여력이 다른 신흥국가들에 비해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제금융센터와 HSBC에 따르면 나라별 대외충격에 대한 취약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취약성 지수는 -0.23으로 27개 신흥국 가운데 9번째로 수치가 낮았다.
취약성 지수는 경상계정과 외국인직접투자(FDI)를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비율, 단기부채 대비 외환보유액 비율, 미국ㆍ유럽과의 GDP 상관계수, 원자재 가격 하락의 영향 등의 변수를 가중 평균한 것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대외충격에 강하다는 뜻이다.
27개국 가운데 취약성 지수가 가장 낮은 나라는 중국(-0.88)이었고, 필리핀(-0.61), 인도네시아(-0.59), 인도(-0.47), 태국(-0.29), 베트남(-0.28), 싱가포르(-0.26), 브라질(-0.2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취약성 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 즉, 대외취약성이 가장 큰 나라는 베네수엘라로 1.34를 기록했다.
한국은 취약성 지수의 구성항목 가운데 원자재 가격 하락 영향과 미국ㆍ유럽과의 GDP 상관계수는 양호한 모습을 보인 반면, 단기부채 대비 외환보유액 비율, 경상계정과 FDI의 합을 GDP로 나눈 비율은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또 한국의 경기부양책 시행여력은 0.30으로, 27개국 가운데 7위를 기록했다.
경기부양책 시행여력 지수는 재정부양책 시행능력, 기준금리 수준과 인플레 전망치를 고려한 양적완화조치 시행여력, 미 달러화 지급능력, 환율 조정능력 등의 변수를 가중평균한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경기부양책 시행여력이 충분함을 의미한다.
27개국 가운데 경기부양책 시행여력이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1.00)이었고, 러시아(0.78), 대만(0.60), 브라질과 카자흐스탄(0.50), 우크라이나(0.42)가 그 뒤를 이었다.
경기부양책 시행여력이 가장 적은 나라는 파키스탄(-1.02)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경기부양책 시행여력 지수를 구성하는 항목 중 재정수지 대비 GDP 비율, 공공부채 대비 GDP 비율, 환율 조정능력은 양호한 반면, 외환보유액과 기준금리 수준은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HSBC는 "취약성 지수와 경기부양책 시행여력을 모두 고려할 때 글로벌 경제의 더블딥(이중침체)이 발생한다면 신흥국 가운데 중국과 브라질이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면서 "반면 베네수엘라, 터키 등은 경기회복이 가장 더딜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