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치매약도 아닌데 시총 600兆…‘GLP-1’ 뭐길래

입력 2024-05-23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골드만삭스, 2030년 비만치료제 시장 1000억 달러 전망 [비만·당뇨 A to Z①]

수백 조 시장 열린다…전 세계도 비만치료제 열풍

“비만 치료제는 여전히 우리가 공급할 수 있는 양보다 수요가 큽니다. 제약업계가 이를 따라잡으려면 앞으로 한참 걸릴 것입니다.”(라스 프루어가르드 예르겐센 노보노디스크 CEO)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1(GLP-1) 수용체 작용제는 오랫동안 답보 상태이던 비만치료제 시장을 빠른 속도로 팽창시켰다. ‘삭센다’로 문을 연 GLP-1 비만치료제는 2021년 6월 주 1회 주사제 ‘위고비’의 등장으로 파란이 일어났다. 헐리우드 스타들은 물론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까지 위고비 돌풍에 동참했다.

GLP-1은 널리 알려진 것처럼 당뇨치료제로 개발됐다. 투약하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해 혈당을 낮춘다. 이 과정에서 뇌의 식욕 중추를 건드려 식욕을 억제, 음식을 먹지 않아도 포만감을 느끼게 만들어 체중을 감량하는 효능이 드러나면서 비만 환자들에게 획기적인 약으로 떠올랐다.

22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 비만 인구는 이미 10억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미국의 경우 전체 성인의 41.9%가 비만으로, 20년 전과 비교하면 37% 증가했다. 세계비만연맹(World Obesity Federation)은 2035년이면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과체중이나 비만에 이를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약 50%씩 성장해 1000억 달러(약 136조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삭센다와 위고비를 개발한 노보 노디스크는 현재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의 85%를 차지한다. 시가총액은 약 4500억 달러(약 600조 원) 규모로 유럽 1위를 달리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의 올해 1분기 실적 발표에 따르면 매출은 653억4900만 크로네(약 13조 원)로, 지난해 1분기보다 24% 증가했다. 이 가운데 비만치료제의 매출은 42% 늘었으며, 품목별로는 위고비가 93억7700만 크로네(약 1조9000원)를 기록해 107% 뛰었다. 위고비 하나의 분기 매출이 국내 최상위권 제약사의 연간 매출을 뛰어넘는 것이다.

‘없어서 못 판다’는 말은 위고비에도 적용된다. 공급 부족이 해결되면 매출은 더욱 가파르게 늘어날 수 있단 의미다. 노보 노디스크는 생산량 확대를 위해 프랑스 샤르트르에 위치한 생산시설에 160억 크로네(약 3조2000억 원)를 투자하는 한편, 올해 2월 미국의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캐털런트를 165억 달러(약 22조 원)에 인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