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사퇴 임박인데...어쩌다 눈길은 국민의힘으로

입력 2024-06-22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李, 내주 24일께 사퇴 전망
‘2기 지도부’ 역시 친명일색
與, 나경원·원희룡·한동훈 각축전
국힘 전대 ‘컨벤션 효과’ 예상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긴급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당대표 연임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당 안팎에선 8월 전당대회에 대한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민주당은 ‘어대명’(어차피 당 대표는 이재명) 분위기인 반면 국민의힘에선 나경원 의원, 윤상현 의원,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등 거물급 주자들의 경쟁 구도가 펼쳐졌기 때문이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는 다음 주 당 대표직에서 물러날 전망이다. 황정아 민주당 대변인은 21일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최고위에서 (이 대표의) 사퇴 시기 언급은 없었지만, 사퇴 여부는 아마 결정되지 않았나 싶다”고 했다. 이 대표는 24일께로 사퇴 선언일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의 연임이 기정사실로 된 상황 속에서 ‘2기 지도부’ 역시 친명 일색으로 꾸려질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의 러닝메이트로는 4선의 김민석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김 의원은 22대 총선에서 민주당 총괄상황실장을 맡으며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과 설전을 벌였던 대표 ‘친명’으로, 수석 최고위원이 돼 이 대표와 호흡을 맞출 것이란 전망이 짙다. 3선에서는 ‘윤석열 저격수’로 통하는 전현희, 이언주 의원의 출마 가능성이 점쳐진다. 재선급에서는 강선우, 민형배, 한준호 의원 등이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8월 전당대회가 ‘친명 일극체제’로 굳혀지다 보니 “흥행 부진이 예견된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당내 목소리가 한 방향으로 나오다 보니 국민들에 피로감이 쌓였고, 모두가 예견하는 이재명 대표 당선 분위기라 눈길을 끄는 요소가 없다”고 했다. 2022년 8월 77.8% 득표로 이 대표가 당선됐던 전당대회에서도 ‘어대명’ 분위기로 민주당 전당대회는 흥행에 실패한 바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반면 국민의힘에서는 ‘친윤’(친윤석열)과 ‘비윤’(반윤석열) 구도로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승부의 장이 펼쳐졌다. 23일 나 전 의원(오후 1시), 한 전 위원장(오후 2시), 원 전 장관(오후 3시) 순으로 릴레이 당대표 출마 선언부터 이어질 예정이다. 정치권에서 국민의힘이 컨벤션 효과를 누리며 상승세를 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2023년 2~3월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치러지는 한 달여 동안 최대 10%까지 당 지지율이 벌어졌다. 한국갤럽이 발표한 2023년 3월 첫째 주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은 39%, 더불어민주당은 29%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자세한 내용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당시 친윤 주자인 김기현 대표가 당선되는 과정에서 화제성을 누리면서 컨벤션 효과를 톡톡히 누린 것이다.

당 지도부 내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고민정 최고위원은 이 대표의 연임이 유력한 상황을 두고 “대선후보를 할 사람의 입장에서 봤을 때 ‘그게 가장 최선의 선택일까’ 하는 의문이 있다”고 했다. 강민구 신임 최고위원의 “이재명은 민주당의 아버지” 발언에 대해서도 “무엇이든지 정치권에서는 감정이 과잉돼 있으면 받아들여지는 데 불편함을 초래한다. 그 대표적 사례”라고 비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