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단 교민 이송’ 군 수송기, 현지 도착…대피 준비 개시

입력 2023-04-22 17: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1일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에서 C-130J 수송기가 수단 교민철수 해외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힘차게 이륙하고 있다. (연합뉴스)

무력 충돌 사태가 발생한 북아프리카 수단에 체류 중인 우리 교민을 안전지대로 이송하기 위해 급파된 군 수송기가 22일 오후 현지에 도착했다.

국방부는 이날 오후 5시 20분께 공군 C-130J(슈퍼 허큘리스) 수송기가 수단 인근 국가인 지부티의 미군기지에 착륙했다고 밝혔다.

현지에 도착한 육군 특수전사령부의 707 대테러 특수임무대와 공군 공정통제사(CCT), 조종사·정비사·경호요원·의무요원 등 50여 명은 우리 국민을 안전하게 수송기에 탑승시켜 최종 목적지인 국내로 이송하는 작전을 펼치게 된다.

이와 함께 국방부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플랜B’도 준비하고 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오만 살랄라항에 있는 해외파병부대인 청해부대를 수단 인근 해역에 급파하라고 지시했다. 만에 하나 공항으로 이동하는 방안이 어려우면 국민을 항구로 이송해 뱃길로 데리고 오기 위해서다.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은 윤 대통령이 임종득 국가안보실 2차장 주재로 열린 관계기관 상황평가회의 관련 보고를 받고 안전 확보를 위해 이같이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수단 군벌들은 ‘이드 알피트르(라마단 종료를 기념하는 이슬람 명절)’를 맞아 21일 저녁(현지시간) 사흘간의 휴전에 합의한 가운데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 정부는 현지에 체류 중인 자국민을 대피시키기 위한 준비에 나섰다.

수단에서는 아직 산발적 교전이 이어지고 있지만, 무력 충돌 초반보다는 상황이 다소 안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수단 내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은 총 29명이며 모두 안전한 상태다. 이들은 여러 곳에 모여 머물며 대피 실행 가능성 등에 대해 현지 우리 공관과 소통 중이다.

외교부는 최영한 재외동포영사실장을 단장으로 하는 9명 규모의 신속대응팀을 별도 항공편으로 지부티에 파견했으며, 수송기로 도착한 우리 군 병력과 함께 수단 내 국민 보호와 대피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수단 교민 대피와 함께 상황에 따라 주수단 한국대사관 철수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 통신은 복수의 미 정부 관료를 인용해 주수단 미국 대사관 철수 결정이 조만간 내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