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건설노조 불법 행위 근절 총력전을 선언했다. 단기간 ‘반짝’ 단속이 아닌, 건설현장 내 불법 행위가 사라질 때까지 정부 부처가 합동으로 나서겠다고 예고했다. 원 장관은 2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건설현장 불법 행위 관련 간담회에서 “법치와 공정이 바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정부의 존재 이유를 걸고 끝까지 가겠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건설노조 불법 행위 근절을 위해 국토부는 물론 법무부와, 경찰 등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예고했다. 원 장관은 “건설현장에서 (건설노조는) 약자와 노동자라는 이름을 앞세워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민간 미분양 물량 증가 부담을 무작정 정부가 떠안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지난달 기준 미분양 주택이 전국에서 6만 가구 이상을 돌파한 것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국가가 무차별적으로 매입해 건설사를 돕지는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원 장관은 30일 세종시 국토부 기자실에서 열린 현안 간담회에서 “특정 물량의 미분양 물량을 정부가 떠안을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현재까지 전국 미분양 물량이 6만 가구를 넘어 20년 (미분양 물량) 장기평균을 넘어선 시점”이라며 “이를 방치하면 시장 전반에 악
하락세가 완연하던 경기 광명시 청약시장에도 온기가 감지되고 있다. 광명 내 최대 재건축 단지인 ‘철산자이 더 헤리티지’(철산자이)가 예비당첨자 계약에서 국민 평형(전용면적 84㎡형)을 포함한 중·대형 평형 완판에 성공했다. 소형(전용 59㎡형)도 절반 이상 계약에 성공하는 등 분위기 반전을 꾀하는 모양새다. 특히 중·대형 물량은 전체 공급량의 14%(231가구)로 비중은 작지만, 실거주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평형인 만큼 지역 내 실수요를 확인했다는 의미가 크다는 분석이다. 30일 본지 취재 결과 경기 광명시 철산동에 분양하는 철산자
재건축 훈풍이 서울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다. 올해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 완화안이 시행된 이후 강남지역을 시작으로 여의도, 목동에 이어 서대문구와 마포구까지 퍼지는 모양새다. 서대문구 DMC한양아파트는 안전진단 통과를 앞두고 있고, 마포구 성산시영은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2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서대문구 북가좌동 DMC한양아파트는 지난 25일 서대문구청으로부터 정밀안전진단 결과 ‘조건부 재건축(D등급)’을 통보받았다. 이 단지는 정부가 5일부터 시행한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 완화안에 따라 새 기준을 적용해
실수요자와 시민단체들이 꾸준히 요구하던 후분양 단지가 늘고 있지만 정작 청약 시장에서는 고배를 마시고 있다. 청약 시장이 얼어붙자 계약률이 급락하면서 미계약분이 속출하고 있는 것이다. 청약 당첨자는 당첨 이후 짧은 시간 내 잔금을 치러야 하고, 분양가도 상대적으로 높아 무더기 계약 포기가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서울 마포구 아현동 ‘마포 더클래시’는 30일부터 총 27가구 무순위 청약(줍줍)을 진행한다. 이곳은 이달 입주를 시작한 후분양 단지로 총 53가구가 지난달 1순위 청약을 받았다. 당시
꽁꽁 얼어붙었던 서울 아파트 시장이 해빙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 매매가격 변동률은 이번 주를 포함해 4주 연속 낙폭을 줄였다. 여전히 집값이 빠지고 있지만 한 달 째 집값 낙폭을 줄이면서 바닥을 다지는 모양새다. 전셋값 역시 지난주보다 하락 폭이 감소하면서 매매가격과 함께 하락 일변도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다. 26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값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23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31% 내렸다.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이 0.35%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0.04%포인트(p) 하락 폭이 줄었다. 올해 누적
전세사기의 무서움은 평범함에서 나온다. 전세살이 비중이 줄었다곤 하지만, 사회초년생부터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이들은 누구나 한 번쯤 전세살이를 겪어야 한다. 누구나 경험하는 주거 형태가 무엇보다 사기에 취약한 제도라는 것을 알고 나면 셋집살이는 공포로 바뀐다. 속칭 ‘빌라왕’ 사태는 국민의 전세살이를 좌불안석으로 바꿔놨다. 전세사기 일당은 신축 빌라의 부실한 시세 산정과 그나마 안심할 수 있는 제도로 통용되던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보험 체계의 빈틈을 악용했다. 피해 규모만 1700억 원에 달한다. 국민적 불안에도 해결
세입자들이 보증금 지키기 총력전에 나섰다. 지난해 하반기 속칭 ‘빌라왕’ 전세사기 등 집값 하락으로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자 최근 전세권설정과 확정일자 부여 등 법적 안전장치를 찾는 세입자가 늘어난 것이다. 25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2022년 12월) 기준 서울지역 전세 확정일자 부여 건수는 총 2만793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7월 2만6598건보다 5%(1337건) 늘어난 수치다. 전세권설정 건수도 연말 부쩍 늘었다. 지난달 전세권설정 건수는 7월과 비교하면 소폭 줄었지만, 하반기 전체
서울 미분양 주택이 지난달 말 기준 1000가구 규모에 근접했다. 기존 미분양 물량 적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강서구에서 100가구 이상 미분양 물량이 쏟아졌다. 특히 미분양 물량 대부분은 전용면적 60㎡형 이하 소형평형에 쏠림 현상이 이어졌다. 미분양 주택이 쏟아지는 상황에 서울시는 25개 지자체의 미분양 통계 집계부터 허점을 드러냈다. 추가 미분양 주택 물량이 쏟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대책 없는 ‘미분양 파도’는 계속될 전망이다. 18일 본지 취재 결과 서울부동산정보광장 기준 지난달 말 민간 미분양 주택은 총 994가구로 지난
경기 군포시 산본 신도시 리모델링 추진 단지인 무궁화주공1단지가 안전진단 문턱을 넘었다. 올해 1기 신도시 내 리모델링 안전진단 통과 첫 사례다. 1기 신도시 주요 단지들은 최근 지지부진한 재건축 대신 리모델링 사업으로 선회 중이다. 상대적으로 규제 문턱이 낮고, 사업 속도도 빨라 재건축보다 더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17일 본지 취재 결과 금정동 무궁화주공1단지는 이달 11일 군포시청으로부터 리모델링 안전진단 통과를 확인받았다. 15개 동 가운데 13개 동이 ‘수직증축 가능’(B등급) 판정을 받았고, 2개 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