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물이 쌓인다

입력 2021-03-21 13: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택시장의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서울 곳곳에서 아파트 매물이 쌓이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내 모습.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주택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서울 곳곳에서 아파트 매물이 쌓이고 있다.

21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물건은 4만6048건을 기록 중이다. 한 달 전(4만327건)보다 14% 가량 늘어난 물량이다.

2ㆍ4 공급 대책 전인 1월 중순 3만9744건을 보였던 서울 아파트 매매물건은 2.4대책 후인 2월 중순 4만327건(583건·1.5%)으로 늘어난 뒤 현재 4만6048건(5721건)으로 증가폭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 한 달간 아파트 매물은 25개 모든 자치구에서 일제히 증가했다. 도봉구(1317건)가 23.7%로 가장 많이 늘었고, 노원구(3378건)도 22% 늘었다. 송파구(3273건) 17.6%, 강남구(4621건) 12.4%, 마포구(1605건) 10.3%, 서초구(4613건) 9% 등으로 매물이 많아졌다. 금천구(636건)의 증가폭이 5%로 가장 적었다.

매물이 쌓이면서 아파트값 상승률도 꺾였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주(15일 기준) 서울 매매가격 변동률은 0.06%로 2.4대책이 나오기 직전(2월 1일 기준) 상승률(0.10%)보다 둔화됐다.

매수심리도 가라앉고 있다. 이 기간 KB부동산의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109.8에서 82.4로 떨어졌다. 매수우위지수는 100을 초과하면 매수자가, 100 미만은 매도자가 많음을 뜻한다. 현재 서울에선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시장에선 이같은 관망세가 오는 2025년까지 전국에 83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는 2·4대책의 영향 때문으로 보고 있다.

전망은 엇갈린다. 일각에선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등 계속된 공시가격 급등으로 인한 보유세 충격과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양도소득세 중과 영향 등에 관망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차기 서울시장의 재개발ㆍ재건축 규제 완화 가능성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발 땅 투기 사태로 인한 공급 대책 지연 가능성이 매매시장을 자극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다양한 변수가 혼재하면서 주택시장이 안정과 불안정 사이에서 줄다리기를 이어가는 양상"이라며 "땅 투기 의혹이 일파만파 커지는 데다 예상보다 높아진 보유세 부담에 다주택자 일부가 매물을 내놓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어 시장에 어느 정도 여파를 미칠지 예의주시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