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中 양극재공장, 재생에너지로만 공장 가동…"탄소 10만 톤 감축 예상"

입력 2020-12-13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LG화학, 현지 풍력ㆍ태양광 전력판매사와 연간 140기가와트시 규모 재생에너지 수급 계약 체결

▲LG화학 중국 우시 양극재 공장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이 '2050년 탄소 중립' 성장 실현을 위해 세계 사업장에 ‘착한 전기’인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도입한다.

LG화학은 중국 장쑤성 우시 양극재공장이 현지 풍력ㆍ태양광 전력판매사인 ‘윤풍신에너지’에게 연간 140GWh(기가와트시) 규모의 재생에너지를 수급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13일 밝혔다.

140GWh는 약 3만 가구 이상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로, 우시 양극재 공장에 필요한 모든 전력을 충당할 수 있는 양이다.

LG화학 우시 양극재 공장은 내년부터 재생에너지로만 공장을 가동해 일반 산업용 전력보다 10만 톤의 탄소 감축이 예상된다. 매년 소나무 170만 그루를 심은 것과 같은 탄소 감축 효과를 내면서, 중국 내 탄소 배출 규제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 기존 산업용 전기를 사용할 때보다 경제성도 갖추게 된다.

이번 계약은 풍력ㆍ태양광 발전으로 생성한 친환경 전기를 중간 단계 없이 직접 공장으로 받는 ‘PPA(전력 구매 계약)’ 방식으로,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 중 이를 적용하는 건 LG화학이 처음이다.

PPA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직접 계약을 통해 고정된 가격으로 전력을 수급받는 방식이다. REC(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 구매, 자가발전 등 다른 재생에너지 공급 방식보다 효율적인 비용으로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하며, 전 세계 어디서나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범용성 또한 장점이다.

LG화학은 이번 우시 양극재 공장에 이어 내년까지 저장성 소재 전구체 공장도 PPA를 통한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전환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전구체-양극재’로 이어지는 중국 내 배터리 소재 분야에서 90% 이상 탄소 중립을 실현할 계획이다.

LG화학 관계자는 “전구체 및 양극재 생산 과정에서는 직접적인 탄소 발생이 거의 없어, 생산 등에 사용되는 전력만 재생에너지로 바꿔도 90% 이상의 탄소 중립 실현이 가능하다”라고 밝혔다.

신학철 부회장은 “이번 중국 내 PPA 추진은 LG화학이 약속한 2050 탄소 중립 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 중 하나”라며, “앞으로도 RE100 달성을 위해 국내외에서 재생에너지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선도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자리매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