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일본’, 구조조정 압박에 국내 M&A로 활로 모색

입력 2019-12-23 10:54수정 2019-12-23 16: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 들어 지금까지 2840건 이상...2년 연속 사상 최대치

▲일본 히타치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궁지에 몰린 일본 기업들이 인수·합병(M&A)에서 살 길을 찾고 있다.

2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일본 기업들의 국내 M&A 건수가 올 들어 지금까지 2840건 이상으로 작년의 2814건을 이미 넘어서 2년 연속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2018년 초 이래 일본에서는 월 평균 약 200건의 국내 M&A가 성사되는 등 M&A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

건수가 늘어난 만큼 M&A에 쏟아붓는 돈도 막대하다. 일본 기업들은 올해 6조 엔(약 64조 원) 이상을 국내 경쟁사 인수에 투자했는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이후 최대치다.

일본 기업들이 이처럼 활발하게 M&A에 나서고 있는 데는 기업 구조조정 압박이 크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기업 구조 재편성에 나선 업체들이 문어발식으로 확장했던 자회사들 정리에 나섰다는 설명이다. 또 창업 1세대가 아직도 회사를 운영하는 곳들의 경우, 승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A를 활용한다는 분석도 있다.

최근 일본 메이저 전기·전자기기 제조업체인 히타치는 지배구조 문제 해결을 위해 그룹의 핵심 사업 부문인 화학과 영상진단기기 사업을 45억 달러(약 5조2000억 원)에 매각했다. 화학부문 자회사인 ‘히타치카세이(히타치케미컬)’를 화학공업 전문 기업 쇼와덴코에 9640억 엔에 매각했다. 쇼와덴코는 히타치케미컬 인수전에서 11월 중순 제시했던 주당 4534엔에서 최종 제안가를 주당 4630엔으로 올렸다.

히타치의 영상진단기기사업은 후지필름홀딩스에 1790억 엔에 매각됐다. 2016년 도시바의 의료기가 자회사 인수전에서 캐논에 패한 후지필름이 이번에는 성공했다. 히타치는 자회사 매각을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및 사회 인프라사업에 경영자원을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히타치는 이번 자회사 매각으로 2008년 22개였던 자회사는 이제 3곳으로 대폭 줄게 됐다.

오므론오토모티브일렉트로닉스(OAE)는 지난 4월 건강의료 및 공장 자동화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기자동차 사업 부문을 자동차 전장 부품의 제조 및 판매를 담당하고 있는 니혼덴산(Nidec)에 1000억 엔에 매각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추세가 내년에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 대기업들이 사업을 간소화해 수익을 내는 사업에 집중하도록 지속적인 압박을 받고 있어서다. 한 도쿄 은행 M&A 전문가는 “최고경영자(CEO)들은 회사 포트폴리오를 새롭게 짜고 성장 부문에 집중해야 한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