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률 감소 추세지만 10대~30대 사망 원인 1위… 남성, 여성의 2.5배
자살에 대한민국이 병들고 있다. 자살률은 정점을 찍었던 2011년 이후 감소 추세이지만, 여전히 하루 평균 34.1명이 삶을 포기하고 있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17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고의적 자해)에 의한 사망자 수는 총 1만2463명으로 전년에 비해 629명(-4.8%)이 감소했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는 24.3명으로 1.3명(5.0%) 줄었다. 하지만 10~30대에선 여전히 사망 원인 중 1위가 자살이었다. 전체 사망 원인에서도 자살은 전년에 이어 5위를 유지했다.
국제적으로도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위험 수위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국 중 두 번째로 높고, 평균치의 두 배에 가까웠다.
연령대별로는 20~30대가 두드러졌다. 20대는 사망 원인의 44.8%가 자살이었고, 30대는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가 24.5명으로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전반적인 자살률 감소세에도 20~30대 자살률은 여전히 높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성별로는 남성(34.9명)이 여성(13.8명)보다 2.5배 높았다. 남녀 간 자살률 성비는 10대에서 1.7배로 가장 낮았으며, 80세 이상에서 3.6배로 가장 높았다.
남성의 경우 자살 시도자 비중에 비해 사망자 수 비중이 크다. 시도가 실제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자살예방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응급실 기반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수행한 42개 병원의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 시도자 1만2264명 중 56.5%가 여성이었다. 71.6%가 남성인 사망자 통계와는 대비되는 결과다.
중앙자살예방센터 관계자는 “여성은 자살을 시도한 사람 중 3분의 2 정도가 생존하지만, 남성은 생존 확률이 절반에 불과하다”며 “자살을 시도하는 데 있어 상대적으로 극단적인 방식을 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나마 고령층의 자살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는 게 위안거리다. 60대의 자살 사망률은 전년 대비 12.8%(4.4명) 줄었다. 자살 사망률이 가장 높은 80세 이상은 10.4%(8.1명)나 감소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60대에 대해서는 농약의 판매와 보관을 금지하는 등 자살 수단을 분석해 사전에 예방하는 정책들을 펴고 있다”며 “최근에는 기초연금 등 사회보장제도를 확대했는데, 이런 부분들이 자살률 감소에 영향을 줬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