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산분리 완화]핀테크 금융사 손익 계산 분주

입력 2018-08-08 17: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외국은 협업 비중 높아져… 국내 업계는 '예의주시'

은산분리 규제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핀테크 금융 업계도 관련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외국의 경우 기존 은행권이 인터넷 은행에 대응하기 위해 핀테크 기업에 집중하여 투자했던 만큼 한국도 관련 투자가 증가할 것이란 긍정적인 추측이 나온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존 은행권은 은산분리 완화가 실시될 경우 고객 유출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핀테크와의 협업을 통해 인터넷 은행 대응에 나설 전망이다. 금융투자협회가 1월 발표한 자료에서는 “전 세계 핀테크 투자금액 가운데 협업 목적의 투자비중이 2010년 25%에서 2015년 43%로 증가했다”며 “기존 은행은 신속한 혁신을 달성하고 스타트업은 자본을 유치하고 금융 당국에 대응할 수 있는 상호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미국의 시티그룹은 유망 핀테크 기업에 7000만 달러를, 웰스파고는 업체당 최대 50만 달러를 투자하는 핀테크 기업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했다. 영국의 HSBC와 바클레이, 스위스 UBS 역시 비슷한 협업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에 한국 역시 인터넷 은행 활성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기존 은행권이 핀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투자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국내 투자는 금융당국이 주도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3월 발표한 핀테크 혁신 활성화 방안에서 “지난해 정책금융지원 목적으로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1조3000억 원 규모의 여신을 지원했다”고 밝히며 앞으로 추가 지원을 이어갈 것을 명시했다. 국내 은행 중에서는 IBK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이 최대 8000억 원 규모의 핀테크 육성 벤처캐피털 투자를 각각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핀테크 기업이 성장할 경우 기존 금융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는 만큼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최근 핀테크 금융사는 단순 송금과 결제를 넘어 대출과 자산관리 등 사실상 은행업 전반을 대체할 수 있는 수준까지 성장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은산분리는 핀테크 육성과 관계가 없으므로 정부가 핀테크 산업 활성화를 근거로 은산분리 완화를 추진해선 안 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은산분리 완화에 반대하는 정의당과 참여연대가 주최한 토론회에서는 “카카오뱅크의 사례를 보더라도 은산분리 규제는 인터넷 은행의 성공과 무관하고, 인터넷 은행이 핀테크 산업 육성이나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은 매우 잘못됐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이와 관련, 핀테크 업계는 일단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한 핀테크 금융사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핀테크 업체와 기존 금융권과 협업 기회가 많아질 것”이라면서도 “구체적인 사항은 관련 법이 완성되면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영향을 분석해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