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674억원 투입해 강남 전파관리소 부지 복합업무단지로 개발

입력 2018-07-04 14: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송파 ICT 보안 클러스터 조성계획' 의결…연면적 17만4000㎡ 규모에 공공시설 등 입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인천 영종도 BMW 드라이빙센터에서 제2차 혁신성장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제공=기획재정부)

정부가 2025년까지 총사업비 5674억 원을 투입해 강남 중앙전파관리소 부지를 연면적 17만4000㎡ 규모의 복합업무단지로 개발한다.

기획재정부는 4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개최된 제2차 혁신성장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송파 정보통신기술(ICT) 보안 클러스터 조성계획’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전날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 부동산 분과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된 ‘송파 ICT 보안 클러스터 위탁개발 기본계획‘을 토대로 마련됐다.

이번 개발에는 기금 562억 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자금 5112억 원 등 총 사업비 5674억 원이 투입된다.

복합업무단지는 청사(중앙전파관리소), 공공업무시설(인터넷침해대응센터 등 5개 공공기관), 창업주거지원시설(오피스텔 140실), 일반업무시설(ICT 관련 스타트업 등) 등으로 구성된다. 사업은 2022년까지 현 중앙전파관리소 청사를 증축 이전하는 1단계 사업과 2025년까지 잔여부지에 공공업무시설 및 각종 지원시설 등을 건립하는 2단계 사업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기재부에 따르면, 중앙전파관리소 부지는 강남 핵심에 위치한 면적 5만㎡의 대규모 국유지임에도 불구하고, 용적률 10%에 불과한 소규모 청사 부지로만 활용돼왔다. 이 때문에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저활용 국유지로 지목돼 개발 요구가 지속돼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재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캠코 등이 참여하는 유관기관 정례협의회를 구성하고 합동 현장점검, 수요기관 의견 반영 등 유관기관 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이번 개발계획을 도출했다.

기재부는 송파 ICT 보안 클러스터 조성이 완료되면 전파 교란·사이버 침해 대응 시설 고도화로 ICT 관련 국가보안기능이 강화되고, 조성된 클러스터는 ICT 보안 관련 공공기관과 업체가 집적으로 국내 첨단 ICT 보안 혁신성장 기지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ICT 보안 산업을 중심으로 신산업을 촉발해 벤처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클러스터 조성 후 5년간 기대효과는 생산 9조4171억 원, 부가가치 2조7110억 원, 고용유발 4만316명에 달할 전망이다.

전날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 부동산분과위원회를 주재한 김용진 기재부 2차관은 모두발언에서 “송파 ICT 보안 클러스터’ 위탁개발 기본계획은 ‘새 정부 국유재산 정책 방향’에 따라 국유재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공익적 가치 실현을 추진한 노력의 결과물”이라며 “앞으로도 모범적인 국유지 개발 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도심 재생, 일자리 창출, 신산업 육성 등 혁신성장과 국민의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