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이틀째… 영향 미미, 장기화땐 타격 불가피

입력 2016-10-11 08: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 거부 첫 날인 지난 10일 일부 물류 거점에서 운송 차질이 빚어졌지만, 우려했던 물류 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파업 첫날인 10일에는 화물차운전자의 집단운송거부가 현실화하지 않고, 운송방해 등 불법행위도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부가 경고한 유가보조금 지급 정지나 물류차질에 따른 대체수송수단 확보 요청도 없었다. 첫 날 파업참가율은 2008년 기록한 72%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파업의 명분이 이전보다 약화돼 다소 동력이 떨어진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사상 최악의 물류 대란이 일어났던 2008년 당시 파업의 명분은 생계 측면이 강했다. 치솟는 유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운송료 수준을 현실화하려는 요구가 컸기 때문에 비조합원까지 파업에 동참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번 파업은 ‘화물운송시장 발전방안’에 대한 반대라는 측면에서 물류업계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여기에 최근 철도 파업 여파로 운송 수요가 급증하면서 운임이 2배 이상 올라 있는 상황 역시 참여저조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정부는 언제든 사태가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위기경보 ‘경계’ 수준에서 중앙수송대책본부를 구성, 비상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아울러 화물연대에는 화물운송시장 발전방안의 폐기·수정 요구를 접는다면 다른 내용과 관련해 얼마든지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전했다. 불법행위에는 엄정 대처할 것이라는 의지도 확실히 했다.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날 대국민담화를 통해 “국가 경제에 심대한 악영향을 끼치는 행위를 즉시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면서 “화물연대가 직접적 이해관계가 적은 사안에 대해 비현실적인 주장을 되풀이하며 집단행동에 나서고 있는데 정부는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 거부에 엄중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