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옷을 입은 배우 송혜교가 새 영화 ‘두근두근 내인생’ 개봉을 앞두고 21일 열린 영화시사회 현장에 나타나 대중에 고개를 푹 숙였다. 2년 전인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종합소득세 25여억원을 탈루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물의를 빚은 데에 대한 사과다. 앞서 송혜교는 당시 조사를 받고 누락된 세금과 가산세 등의 탈세액을 모두 납부했다고 밝혔지만, 논란이 잦아들지 않자 직접 언론 앞에 나서 해명을 했다.
송혜교 탈세 논란에 대중이 인색한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송혜교는 국세청으로부터 2009년 모범납세자로 선정, 3년간 세무조사 면제 혜택을 받은 시점과 송혜교의 탈세 시점이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이다. 국세청에 따르면 모범납세자로 선정된 성실 납세자는 금융상 최고등급 고객으로 우대를 받는 것과 더불어 최대 3년간 세무조사 면제 조치를 부여받는다.
걸그룹 2NE1 멤버 박봄은 마약류인 암페타민 각성제를 몰래 들여오다 적발, 마약류관리법 위반 혐의에 대해 입건유예 처분을 받았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됐다. 더 문제가 된 사실은 2NE1이 지난 2010년 9월 법무부 산하의 ‘법질서 캠페인 홍보대사’로 위촉됐다는 사실이다. 이 역시 박봄이 마약을 밀수한 시점과 겹친다. 박봄은 2NE1의 법무부 홍보대사 활동 3주 만에 검찰 내부 전산망에 내사사건으로 자신의 이름을 올렸다.
2NE1 이전인 2009년에는 그룹 빅뱅이 법무부 홍보대사를 맡았으며, 빅뱅 멤버 지드래곤과 대성은 대마초 입건유예와 교통사고 치사사건 등을 치렀다. 멤버 왕따 논란으로 곤욕을 치른 티아라는 한국인터넷진흥원주관 ‘아름다운 인터넷 세상 만들기’ 홍보대사였고, 지난해 안마시술소에 출입해 물의를 일으킨 가수 상추는 병무청 홍보대사로 활동했다.
이쯤 되면 정부에서 위촉하거나 선정하는 모범연예인, 홍보위원, 명예대사, 홍보자문위원 등의 여러 이름을 거느린 연예인 홍보대사의 역할이 의심스러워진다.
사실, 연예인으로서는 정부부처와 기관의 홍보대사 제의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 홍보대사는 기본적으로 사회공헌이자 공익성이 짙은 활동이기 때문에 이미지로 먹고 사는 연예인의 경우 긍정적인 이미지 구축에 이보다 좋은 홍보효과 또한 없기 때문이다.
계명대 진용주 교수가 지난 3월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지난해 4∼6월 전국 225개 조직, 기관, 행사추진위원회, 기업 등이 홍보대사를 위촉했고, 이는 3개월에 225명 이상으로 적게 잡아도 하루 평균 2.4명이라고 밝혔다. 1년에 1000명에 달하는 수치다.
홍보대사의 수가 지나치게 많다는 것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진짜 문제는 홍보대사 직책을 연예인에게 위촉할 때에 설득력 있는 기준과 명확한 이유 없이 무작위로 남발한다는 사실이다. 대부분 각 기관에서 홍보대사를 선정하는 기준은 연예인의 이미지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홍보대사로 위촉되는 연예인에 대한 기본적인 자질과 그에 대한 검증, 각 기관과 부처와 연예인의 이미지가 부합하는지는 따지지 않는다. 홍보대사는 기관과 부처의 홍보 쇄신과 마케팅 수단으로 전락된 지 오래다.
홍보대사의 진정한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대부분의 홍보대사는 무보수지만, 이미지 쇄신이 필요한 기관이나 CF등 다양한 홍보활동을 펼칠 경우 연예인에게 거액을 제시하기도 한다. 기획재정부는 2010∼2011년 복권 홍보대사로 활동한 이승기에 5억7000만원을 지급했고, 슈퍼주니어는 2011년 농림축산식품부 한식 홍보대사로 3억8000만원을 받았다. 원더걸스도 농식품 수출 홍보대사로 3억7000만원을 지급 받았다.
국민의 혈세까지 써가면서 자신의 기관과 부처를 홍보하는 연예인 홍보대사, 누구를 위한 것인가. 진정 국민을 위한 것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