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투명성 요구되는 기업 사회공헌 -최재혁 산업부 기자

입력 2014-06-23 10: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남의 주머니를 털어 좋은 일에 쓴다면 이것은 선일까? 그러고는 칭찬까지 독차지한다면? 행위가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그 행위의 밑바탕부터 당위성을 갖춰야 한다. 갖은 불법, 편법으로 악착같이 번 돈의 사회 환원을 결정한 한 회장님에게 우리 사회가 고운 시선을 보내지 않는 이유다.

‘돈.’ 꼭 재원을 둘러싸고 문제가 많다. 기업의 사회공헌이 확대되면서 그 기부금의 출처, 용처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최근 수입차 업계에서는 한 수입차 업체의 사회공헌 재원 마련 방식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업체는 사회공헌을 하면서 차를 판매하는 딜러사에 재원 마련을 일부 요구했다. 각 딜러사에 할당량까지 줬다고 한다.

‘갑’이 시키니 ‘을’은 숨죽일 수밖에. 계약이 해지될까, 물량이 줄어들까 두려워 “이번달은 얼마까지는 채워야 한다”는 지점장의 고성은 딜러의 가슴을 졸이게 했다. 타인의 의지로 내 월급이 깎일 때 웃을 수 있는 이는 얼마나 될까.

이러한 일은 비단 수입차 업계에 국한하지 않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미 사회공헌 재단을 통해 개인의 돈을 착복하고 재단이 비리에 연루된 사건은 숱하게 있다.

실천은 안과 밖의 손이 맞춰질 때 ‘참’이다. 안으로는 기업시민 철학이 세워지지 않았는데 밖으로 보여주기만 하려 하면 부작용이 생길 수밖에 없다. 기업은 눈에 띄는 사회공헌 캠페인을 고민하기에 앞서 올곧은 철학을 세우는 데 더 노력해야 한다.

세월호 사건 때 ‘국가의 책임’이라는 본질을 희석시킬 것이란 우려에서 ‘기부금을 내지 말자’는 목소리가 있었다. 더욱이 과거 재난 상황에서 ‘기부금의 용처가 확실치 못했다’는 불신도 큰 상황이었다.

기업의 사회공헌은 달랐으면 한다. 재원 마련부터 사용처가 투명성을 더 갖춰 불신의 벽이 아닌 신뢰의 온실에서 성장하길 바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