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팅 세계 1등 국가 만든다…산업육성 프로젝트 가동

입력 2014-06-18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D프린팅산업 발전협의회 개최, 3D 전략로드맵 큰 그림 그린다

정부가 3D 프린팅 1등 국가 실현을 위한 산업육성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3D프린트 발전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이른시간 내에 세부적인 기술전략 로드맵을 완료할 방침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산자원부는 18일 ‘제1회 3D프린팅 산업 발전협의회’를 개최하고 ‘창의 Makers 1000만명 양성계획, 제조혁신지원센터 구축·운영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오는 2020년까지 초중고생, 일반인, 예비창업자 등을 대상으로 1000만명에 대한 3D프린팅 활용교육을 실시한다. 수준별, 분야별로 세분화한 교육과정을 개발·보급해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이를 통해 관련 산업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술경쟁력을 강화하면서 경쟁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더불어 각급 학교, 무한상상실 등에 3D프린터를 보급하고 셀프제작소도 구축, 3D프린터의 접근성을 높인다. 지자체, 지역소프트웨어진흥원, 민간기업 협력을 통해 총 33만여명 체험을 목표로 초기 17개 광역시를 중심으로 오는 2017년까지 130개에 달하는 전국 단위의 국민체험·활용 인프라(셀프제작소)가 구축될 예정이다.

다양한 3D프린팅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유통체계도 마련된다. 다양한 3D프린팅용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하고, 공공이 보유중인 콘텐츠의 이용을 원활히 하고자 3D프린팅 콘텐츠 유통 플랫폼도 운영한다.

이와함께 3D프린팅 제조혁신지원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연내 수도권에 종합적인 기술지원을 위한 센터를 구축하고 5개 권역별(충청권, 강원권, 대경권, 동남권, 호남권)로 특화산업분야와 연계한 지역거점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먼저 3D프린팅산업 발전협의회(이하 협의회)를 구성, 운영키로 했다. 협의회는 3D프린팅 발전을 위한 전략을 짜고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협의회를 지원하기 위해 산하기관 전문가로 ‘발전추진단’을 구성해 현장 밀착형 정책수립을 추진키로 했다. 또 3D프린팅산업 전략기술 로드맵을 오는 10월까지 마련해 운용할 계획이다.

현재 범부처 차원의 정책 협의체인 프린팅산업 발전협의회가 지난 4월 출범, 운영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