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국무총리 후보 '극우' 논란…"무상급식, 배급받는 북한주민", 용산참사 때 "김석기 살려야"

입력 2014-06-11 04: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문창극 국무총리 내정자, 문창극 총리후보, 문창극 노무현

▲박근혜 대통령은 10일 신임 국무총리로 문창극 중앙일보 전 주필을 내정했다.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이 국무총리 내정자로 지목된 가운데 그의 과거 칼럼들이 '우평향' 논란에 휩싸였다.

문창극 총리 후보자는 지난 2010년 '공짜 점심은 싫다'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무상급식 논란은) 우리가 어떤 사회를 만들어 갈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선택과 관련된 사안이라고 생각한다"며 "무료 급식은 사회주의적 발상"이라고 규정했다.

문창극 총리 후보자는 "공짜 점심을 먹기 위해 식판을 들고 아이들이 줄을 서는 것과 식량 배급을 타기 위해 줄을 서는 북한 주민의 모습이 다르지 않다"는 비난도 덧붙였다.

미국산 쇠고기 반대시위가 한창이던 때에는 ‘정부다운 정부’라는 제하의 칼럼에서 "질서를 수호하다 쓰러지는 대통령이 되어보라"고 말했고, 이어 2009년 2월엔 용산참사 당시 과잉 진압을 주도한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을 옹호하는 '김석기를 살려야 한다'는 칼럼을 써 "경찰청장에게 책임을 묻는다면 두고두고 이 나라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문창극 후보자는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을 공격하는 듯한 발언으로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김대중 대통령의 병세가 악화된 2009년 8월 칼럼 '마지막 남은 일'에서는 김 전 대통령의 비자금 조성과 재산 해외 도피 의혹을 언급했다. 2009년 5월 26일자 '공인의 죽음'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언급, "죽음은 자연인과 공인의 성격으로 나누어 판단해야 한다. 자연인으로서 가슴 아프고 안타깝지만 공인으로서 그의 행동은 적절치 못했다"며 "그의 장례절차나 사후 문제에도 반영돼야 했다"고 지적했다.

문창극 후보자의 칼럼은 전직 대통령 서거에 따른 국민장으로 치를 필요가 없다는 주장으로 해석돼 야권의 반발을 부르기도 했다.

2006년 10월 3일 개천절을 기념해 쓴 '단군조선에서 대한민국으로' 칼럼에서 "이승만이 비록 독재라는 비난을 받았지만 대한민국을 존재케 한 인물이다. 우리는 그의 통찰력과 판단력 덕분에 적화를 면하고 나라의 기틀을 세웠다"고 평가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이 나라를 부강케 한 인물"이라고 각각 평가했다.

이날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은 “냉철한 비판의식과 합리적인 대안을 통해 우리 사회의 잘못된 관행과 적폐를 바로잡기 위해 노력해온 분”이라고 문창극 후보자를 소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