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금융기관들 현대상선 잇단 지원, 왜?

입력 2014-05-26 09: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은·정책금융공사 1600억 ABCP지원…전문가들 “리스크 관리 신중히”

자구계획안을 이행중인 현대상선에 정책금융기관들의 지원이 잇달아 주목된다.

2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현대상선은 지난 21일 정책금융공사와 산업은행의 지원으로 1600억원 규모의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 조달에 성공했다.

이번 ABCP 발행은 지난달 현대증권 지분을 담보로 현대상선에 2000억원을 대출한 산업은행이 주관사로 나서 투자자들을 모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은과 정금공은 각각 400억원, 1200억원 규모로 이번 ABCP의 지급보증을 섰다.

정책금융기관들이 현대상선 지원에 발 벗고 나선 데는 유동성을 지원해 원활한 자구안을 촉진시키겠다는 속내가 반영 됐다.

정책금융공사 관계자는 “이번 ABCP 발행은 2000억원 규모로 만기가 돌아오는 현대상선의 사모사채 만기연장 차원에서 진행하게 된 것”이라며“만약 만기가 돌아오는 2000억의 유동성을 회수하면 현재 진행중인 매각 등 구조조정에 부담이 미칠 수 있어 원활한 자구안 실행을 위해 지급보증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통상 ABCP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기업어음(CP)이다. 현대상선은 지난 3월 신평사에서 과도한 재무 부담과 업황 부진에 따른 실적 저하 우려로 투기등급 바로 전 단계로 강등 당했다. 즉 현대상선 자체 신용만으로나 회사채 발행이나 기업어음 발행이 어려운 상태여서 산은과 정금공이 이번에 발행하는 ABCP에 지급보증을 서는 구조인 것.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책금융기관들이 현대상선 지원에만 지나치게 우호적인 것이 아니냐’는 반응도 나온다.

크레딧업계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들이 회사채 신속인수제에 이어 프라이머리 CBO발행, 여기에 추가적으로 수 천억 규모의 ABCP 발행까지 하는 등 현대상선 지원에는 유독 호의적인 것 같다”며“다만 한계상황에 처한 기업들이 디폴트가 생기는 것은 대부분 CP(기업어음)쪽에서 발생한 사례가 있기 때문에 정책금융기관들도 익스포져 규모 등 리스크 관리에 유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책금융공사는 현대상선이 자구계획안을 적극 이행중인데다 담보물 역시 탄탄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 될 것 없다는 입장이다.

정책금융공사 관계자는 “현대그룹은 최근 현대로지스틱스 IPO(기업공개), 현대LNG선 부문 매각, 현대증권 등 금융계열사 매각 등을 통해 강도 높은 자구이행을 진행하고 있어 조만간 유동성 확보가 원활히 이뤄 질 것”이라며 “여기에 안정적이고 확실한 담보물을 확보해 놓은 상태라 일각에서 제기하는 리스크 우려는 현저히 낮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