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사물인터넷 촉진 위해 인터넷주소 무제한 제공

입력 2014-03-26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래창조과학부가 26일 무제한인터넷주소(IPv6) 본격 확산을 위한 ‘민·관 합동 IPv6 확산 로드맵’을 발표했다. Pv6는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ETF)에서 만든 주소로 무제한 할당이 가능하다.

미래부는 지난해 로드맵 마련을 위해 통신, 초고속인터넷(ISP), 컨텐츠(CSP) 부문 369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IPv6 전환현황 및 계획, 전환비용과 애로사항을 조사했다. 또 200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단말지원 현황을 조사하고 사업자간 협의를 거쳐 분야별 목표치와 일정을 설정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올 하반기에 SK텔레콤이 IPv6 기반 이동통신(LTE), SK브로드밴드가 초고속인터넷, 다음이 웹사이트 상용서비스를 개시한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IPv6 백본망을 올해까지, 가입자망은 2017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삼성 등 제조사의 IPv6 지원 스마트폰은 올 하반기 상용서비스 시점에 맞춰 출시될 예정이다.

미래부는 IPv6 상용서비스의 성공적 개시를 위해 웹사이트,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상용화 지원 사업과 민·관 상용화 지원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한다. 아울러 공공부문 웹사이트에서 IPv6 도입을 의무화해 민간부문으로 확산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미래부 이진규 인터넷정책관은 “금년 하반기 IPv6 상용서비스가 개시되면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국내 IPv6 이용률이 조만간 미국·일본 등 선진국 수준으로 상향될 것으로 보고있다”며 “이번 로드맵을 계기로 IPv6 전환이 앞당겨지고 인터넷·통신 장비와 사물인터넷 등 인터넷 신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