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규제 아닌 사후징벌로 바꿔야” 주장
이 교수는 이를 KTX 승차권 제도에 비유했다. 대부분의 사람이 착한 승객일 것으로 믿고 일부 부정한 승객들을 사후검사로 골라내는 이른바 네거티브시스템(negative system)에 기초한 징벌적 배상을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예전에 KTX를 타는 사람 100명 중 30명이 표를 안 샀고 이를 일일이 다 검사하면서 비용도 많이 들었다”며 “그러나 사회 품질과 신뢰도가 올라가면서 요즘은 표를 검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선진사회는 포지티브시스템(Positive System)이 네거티브시스템으로 전환되고 사전 규제가 사후 징벌로 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그는 “모든 기업인을 모럴해저드로 간주하는 것이 문제”라며 “과거와 달리 기업은 투명해졌고 모럴해저드를 일삼는 기업은 1~2%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모럴해저드에 대한 징벌적 배상 강화에 대해서는 “모럴해저드는 민·형사 소송을 할 수 있다”며 “모럴해저드 금액의 3배 정도가 적절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창업자 연대보증 폐지에 따라 일자리 증가, 국가 편익 증대 등의 경제적 이익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학생들에게 창업 의지를 물어보면 3% 정도가 창업을 희망하지만, 질문을 바꿔 ‘연대보증 신용불량 공포 없이 3번을 창업할 수 있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는 5배 이상 창업 의지가 증가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연간 2000개의 벤처창업이 1만개로 확대될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또 “창업자 입장에서도 신용불량의 위험이 없어지면 창업은 증가하고 국가 편익도 증대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