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양회 개막] 중화시대 부활 노리는 외교 전략은?

입력 2013-03-04 1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의 가장 큰 양대 정치 행사인 전국 인민 대표 회의(전인대)와 전국 인민 정치 협상 회의(정협) 이른바 ‘양회’가 3일(현지시간) 개막했다.

중국은 이번 ‘양회’로 시진핑 시대를 공식 맞이하게 되면서 중화시대 부활을 노리는 ‘대국(大國) 외교’를 본격적으로 시행할지에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외교 전문가들은 시진핑 체제의 중국이 과거와 달리 더욱 과감하고 강경한 대외 노선을 선택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앞서 시진핑 총서기는 지난해 11월 18차 당 대회 보고서에 “중국의 국제적 지위에 걸맞고 국가 안보와 발전 이익에 부응하는 강한 군대를 건설하는 것이 전략적 임무”라고 강조했다.

이같은 시 총서기의 어조는 중국이 미국과 더불어 주요2국(G2)에서 부상한 상황에서 자국의 위상을 확인한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시 총서기는 취임 직후 ‘중화민족의 부흥’을 실현할 날이 머지않았다고 역설하는 등 중국의 위상을 과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이 ‘핵심 이익’으로 규정한 국가 이익을 지키는 단호한 외교 정책을 펴고 이를 뒷받침할 군사력 강화에 더욱 매진할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일각에서는 시 총서기의 개인 스타일이 중국을 대국외교로 이끌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외교 소식통은 “최근 센카쿠 열도 영유권 분쟁에서 강경 대응을 주도한 것이 시진핑 총서기라고 널리 알려졌다”며 “시 총서기 시대의 중국이 자신들의 핵심 이익과 관련되는 사안에서는 좀처럼 양보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따라서 중국이 대국외교를 본격화하면 이미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전략 중심을 옮긴 미국과의 긴장 형성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의 제3차 핵실험에 따른 대북 제재 강화 방안과 미국의 대만 무기 수출·남중국해와 동중국해 도서 영유권 갈등·티베트 인권 문제·무역 갈등·인터넷 해킹 공방 등 갈등의 불씨가 여전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시 총서기는 첫 해외 순방지로 러시아와 남아공을 선택하는 등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등과의 연대를 강화해가면서 미국의 견제에 대응할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미일 양국이 동맹 강화로 압박에 나서자 중국이 러시아와의 관계 강화로 맞서려 한다고 해석했다.

진찬룽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은 “중국은 일본과의 영토 갈등에서 러시아의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미국에 맞서 전통적인 아시아 우방인 파키스탄·미얀마·캄보디아와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 대해서는 강하게 공격하는 모습이다.

중국은 지난해 9월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에 대해 일본이 국유화를 선언하면서 이 주변에 항공기와 정부 선박을 보내 일본을 자극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