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세론? 친박은 오히려 “몸조심”

입력 2012-04-20 10:59수정 2012-04-20 13: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걸림돌 가만 안 둬” 朴 경고, 당권경쟁에도 영향

4·11 총선을 거치면서‘박근혜 대세론’은 더욱 굳어졌지만 친박(박근혜계) 의원들은 오히려 자세를 낮추는 분위기다.

당 안팎에서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사당화’ 주장이 제기되면서 부터다.‘공천 학살을 당했다’는 당내 친이(이명박계) 공격이나 ‘독재’라는 야당의 비판이 주류인 친박 입장에선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특히 총선 직후 제수 성추행 의혹을 받던 김형태 국회의원 당선자가 탈당한 데 이어 논문 표절 시비가 일고 있는 문대성 당선자까지 여론의 도마에 오르면서 박 위원장의 책임론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선 자신들 부터 한 발 뒤로 물러서 있어야 한다는 게 친박의 판단이다.

한 친박 중진 의원은 20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당이 여러 가지로 어수선한데 지금 시점에 우리가 설치는 건 바람직하지 못하다. 뒤로 빠져 있는 편이 박 위원장을 도와주는 길”이라고 했다. 이한구 의원도 “친박이 대외적으로 자제해야 될 일이 많이 있다”고 말했다.

이런 움직임 속에는 당에서 문제를 일으킨 김·문 두 당선자에 대한 공천책임이 영남 의원들에 있기 때문이란 지적도 있다.

이를 둘러싼 박 위원장의 ‘경고 메시지’도 측근들을 긴장시키는 요인이다. 박 위원장은 지난 19일 “민생과 관련이 없는 일로 갈등이나 분열을 하거나 또 과거를 망각하고 다시 정쟁을 하면 정권 재창출로 가기 전에 국민들이 우리를 심판할 것”이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만약에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데 걸림돌이 되거나 안 지키는 사람이 있다면 결코 그냥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도 했다. 그가 가장 유력한 대권주자이기에 듣기에 따라선 “내 앞 날에 해가 되는 사람은 가만두지 않겠다”는 뜻으로 읽혔다.

이런 분위기는 당권경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각 주자들은 과도한 경쟁보다는 교통정리를 택했다. 새 대표직을 노리던 중원의 승부사 강창희(대전 중구) 전 의원은 국회의장직으로 선회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황우여(인천 연수) 의원은 유력한 후보임에도 때를 기다리고 있다.

원내대표 하마평에 올랐던 최경환 의원은 사무총장으로, 유승민 의원은 국방위원회 위원장 쪽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한 친박 초선 의원은 “당이 분열되지 않고 정권 재창출을 이루려면 흔히 비박(非朴)이라 불리는 사람들도 소외감을 받지 않게 배려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