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를 양자 산업화의 원년으로 삼고 3대 게임 체인저인 양자기술의 산업화 기반을 마련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관련 예산을 전년 대비 54.1% 늘려 투자를 강화할 계획이다.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 주요국이 양자기술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고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후발주자인 우리나라도 양자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민관이 협력해 선진국을 따라잡겠다는 전략이다.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K-퀀텀 스퀘어 미팅’에서 “올해를 우리나라 양자 산업화 원년으로 삼아 초기 상용화·실증, 인프라·장비 구축, 기업 지원 등 양자기술의 산업화 기반을 마련하는데 역점을 두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025년 새로운 시작과 변화를 의미하는 푸른뱀의 해를 맞아 양자분야도 여러 변화와 도전을 앞두고 있다”면서 “양자 플래그십 프로젝트 착수, 양자종합계획 수립 등 주요 사업·정책을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양자기술 관련 예산을 지난해 대비 54.1% 증액된 1981억 원 규모로 책정했다. 양자컴퓨팅(479억 원), 양자통신(377억 원), 양자센서(209억 원), 양자공통기술(56억 원) 등 연구개발(R&D)에 총 1120억 원을 투자하고 퀀텀(양자) 플랫폼 지원(68억 원), 개방형 양자팹(100억 원), 시험 검증 위한 통신망 테스트베드(79억 원),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59억 원) 등 인프라 구축에 417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국제협력 및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444억 원을 투자한다.
이종우 양자과학기술산업팀장은 “양자 분야에 대해 별도로 편성된 예산 외에도 정부출연연구기관 자체 예산이나 양자 관련 연구과제 등을 감안하면 올해 전체적으로 3000억 원 이상의 양자기술에 대한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미중 기술 패권이 심화하는 가운데 양자기술은 경제분야 뿐만 아니라 군사, 안보 영역에서도 핵심 기술로 떠오르며 국가 전략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는 양자를 바이오, AI 반도체와 함께 3대 게임체인저로 육성하고 있지만 갈 길이 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미국의 양자컴퓨터 기술 수준을 100점이라고 할 때 한국은 아직 2.3점에 불과했다. 양자 센서 분야에서도 한국의 점수는 2.9점에 그쳤다.
하반기에는 정책, R&D, 투자전략, 상용화 등 양자과학기술과 산업 육성을 총괄하는 민관 합동 ‘양자전략위원회’를 출범하고 양자 과학기술·산업을 육성하는 5개년 종합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팀장은 “산업 생태계 기반 마련을 위해 국내 양자팹 간 협력체계를 마련하고 글로벌 양자 파운드리 등의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양자 스타트업 성장 마중물 제공을 위한 펀드 조성을 추진해 기업의 성장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