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2023년 지역별 일·생활 균형지수' 발표…전년 2위 부산 순위도 급락
지난해 일·생활 균형 여건이 대체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상위 지역과 하위 지역 간 격차는 더 커졌다.
고용노동부가 25일 발표한 ‘2023년 지역별 일·생활 균형지수’를 보면, 지난해 총점은 전국 평균 60.8점으로 전년보다 2.1점 상승했다. 고용부는 일, 생활, 제도, 지방자치단체 관심도 등 4개 영역 24개 지표를 토대로 일·생활 균형지수를 산출한다. 올해에는 4개 영역 총점과 별개로 정부인증 가사서비스 활성화 정도를 기준으로 한 가점을 신규 지표로 추가했다. 지난해 지표에선 대체로 근로시간과 초과근로가 줄고 휴가 사용이 늘었으며, 유연근무 도입률이 올랐다.
지역별 총점은 세종(67.8점), 인천(67.1점), 대전(66.5점) 순으로 높았다. 세종은 조례, 제도 홍보, 담당조직 유무 등을 기준으로 한 지자체 관심도가 16.9점으로 전국 평균(11.5점)보다 5.4점 높았다. 육아휴직 이용률,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이용률, 국공립보육시설 이용률 등을 기준으로 한 제도 영업 점수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천은 일 영역과 지자체 관심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일 영역의 주된 평가지표는 근로시간이다. 인천은 16.7점으로 전국 평균(15.1점)을 1.6점 웃돌았다. 대전은 일 영역과 제도 영역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상위 3개 지역의 전년 순위는 세종 3위, 인천 9위, 대전 8위였다. 세종, 대전은 기존에도 상위권에 속했으나, 인천은 2022년 이후 점수 상승이 두드러진다. 전년과 비교해 세 지역 모두 점수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세종은 5.6점, 인천은 8.2점, 대전은 7.2점 각각 올랐다. 다만, 세 지역은 가점이 각각 0.3점, 1.9점, 3.4점으로 전국 평균(2.0점)과 비교해 높지 않았다. 이 때문에, 가점을 합산하면 순위는 인천(70.5점), 충남(68.9점), 경기(68.4점) 순으로 바뀌었다.
점수가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49.1점), 경북(54.5점), 대구(54.6점)다. 제주는 생활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점수가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특히 지자체 관심도는 3.3점으로 전국 평균의 3분의 1에도 못 미쳤다. 경북은 모든 지표가 평균 미달이었다. 제주와 마찬가지로 지자체 관심도(8.1점)가 특히 낮았다. 대구는 제도 영역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으나, 일 영역과 지자체 관심도가 전국 평균을 하회했다. 이들 지역은 가점을 합산한 점수도 최하위권이었다.
하위 3개 지역의 전년 순위는 제주 13위, 경북 15위, 대구 5위였다. 제주, 경북은 하위권에 정체돼 있으며, 대구는 1년 새 순위가 급락했다. 전년과 비교해 제주는 7.1점, 경북은 1.1점, 대구는 6.0점 내렸다. 반면, 전년 최하위권이었던 강원(17위), 전북(16위)은 각각 12위, 8위로 올랐다. 점수가 각각 7.0점, 8.8점 개선된 덕이다.
최상위 지역과 최하위 지역 간 총점 격차는 전년 13.9점에서 18.7점으로 확대됐다.
한편, 전년 1~2위였던 서울, 부산은 각각 9위, 10위로 내려앉았다. 점수가 각각 3.3점, 3.4점 하락한 탓이다. 서울은 지자체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부산은 전반적으로 점수가 내렸다. 서울, 부산의 총점은 각각 61.5점, 60.3점이다. 서울은 전국 평균을 간신히 웃돌았으나, 시 지역 평균을 밑돌았다. 부산은 시 지역 평균은 물론, 전국 평균보다도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