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타머사이언스·연세대의료원, 방사성동위원소 표적전달기술 연구 국제학술지 등재

입력 2024-06-27 07:00수정 2024-06-27 09: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압타머를 활용한 방사성동위원소 전달 플랫폼의 구축 및 실효성 검증

▲방사성동위원소를 탑재한 EGFRvIII 압타머 구조도. (자료제공=압타머사이언스)

압타머사이언스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강원준 교수(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연구팀과 SCI급 국제 학술지에 압타머 기반의 방사성동위원소 표적전달기술 관련 논문을 게재했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EGFRvIII 양성 교모세포종 이종이식 모델에서 68Ga 표지 NOTA-EGFRvIII 압타머의 생체 내 평가’란 제목으로, 약학 분야 상위 10% 국제 학술지 ‘파마슈틱스(Pharmaceutis)’ 6월호에 실렸다.

이번 연구는 압타머 기반 방사성동위원소 표적전달 플랫폼의 설계 및 합성을 토대로, 해당 구조의 방사성의약품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됐다. 교모세포종의 진단과 치료에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는 EGFRvIII 단백질을 타깃으로 압타머 표적기술의 가능성을 탐색했으며, 진단용 방사성동위원소 68Ga의 성공적인 탑재와 선택적이고 특이적인 표적전달을 통해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의 핵영상 진단용 탐침(probe)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아울러 구조-활성 및 마우스 모델 연구를 통해 높은 표적전달성 및 빠른 체외배출 등 방사성의약품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플랫폼임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강 교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종양의 진단과 치료에 압타머 기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 다양한 종양 표적물질에 대한 방사성리간드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마우스모델에서 표적전달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마이크로PET 영상. (자료제공=압타머사이언스)

압타머사이언스 관계자는 "올해 바이오 USA에서도 방사성의약품 표적전달기술이 많은 주목을 받았다. 기존 항암제 파이프라인에 더해 방사성의약품 플랫폼도 기술이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 적극적으로 후속 미팅을 이어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암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파이프라인이 저분자 및 펩타이드 플랫폼에 치중됐지만, 압타머는 표적의 다양성·우수한 물성·안정성을 바탕으로 충분한 경쟁적 대안이 될 수 있는 만큼 성장 가능성이 충분하다”라고 강조했다.

방사성의약품은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적 특이성 플랫폼에 실어 암 조직에 전달하는 방식의 차세대 항암제이다. 항체나 펩타이드와 같은 물질을 이용해 타깃을 정밀하게 표적할 수 있고, 건강한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2022년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노바티스의 ‘플루빅토’가 지난해 9억8000만 달러(약 1조3000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 상업적 성공을 거두면서 주목받고 있다. 플루빅토는 2028년 5조 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레시던스리서치(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방사성의약품 시장은 2022년 52억 달러(약 7조 원) 규모에서 10년간 연평균 10.2% 성장해 137억 달러(약 18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포인트바이오파마와 레이즈바이오를 각각 사들인 일라이릴리와 BMS에 이어 올해 3월 아스트라제네카가 퓨전파마슈티컬스를 인수하는 등 글로벌 빅파마의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SK바이오팜, 퓨처켐, 듀켐바이오 등이 방사성의약품 개발에 뛰어드는 등 관련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