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ㆍ달러 환율 두 달 만에 159엔 돌파…일본, 외환시장 개입하나

입력 2024-06-21 14: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엔·달러 환율 159엔 터치...엔화 약 2개월 만에 최저
일본 재무성 외환시장 추가 개입 가능성 시사하기도
미국, 일본 환율조작국 지정 대신 환율관찰대상국에 올려

▲일본 도쿄에 있는 일본은행 건물 앞에 일본 국기가 보인다. 도쿄/AFP연합뉴스

엔화 가치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엔·달러 환율이 21일 장중 한때 159엔대를 돌파했다.

엔·달러 환율이 159엔을 돌파한 것은 4월 29일 이후 약 2개월 만이다. 다만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화 가치 약세는 이후 좀 누그러지면서 이날 오후 현재 엔·달러 환율이 158엔 후반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시장에서는 엔·달러 환율이 또다시 159엔을 돌파하면서 일본 외환 당국이 시장 개입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앞서 일본 금융당국은 엔·달러 환율이 지난 4월 29일 34년 만에 처음으로 160엔을 돌파하자 4월~5월 사이에 외환시장에 개입했다. 이때 투입된 자금은 약 627억 달러(약 86조9523억 원)에 달했다.

엔화 가치가 다시 약세를 보인 것은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과의 일본의 금리 차가 다시 두드러진 영향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지적했다. 닐 카시카리 미네아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미국 물가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목표치인 2%까지 진정되려면 1~2년은 걸릴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해 금리 인하에 신중한 견해를 보였다. 이에 연준이 금리 인하 시기를 늦출 것이라는 관측이 퍼지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였다.

이런 가운데 일본은행(BOJ)이 지난 13∼14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국채 매입 규모 축소 시점을 내달로 미루면서 엔화 약세를 부추겼다. 여기에 중국 국채금리가 급락하면서 엔화는 물론 아시아 주요 통화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인 것도 엔화에는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카도타 신이치로 바클레이스 전략가는 전날 “미·일 금리 차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한 캐리 트레이드로 인한 엔화 매도세는 금리 차가 다소 좁혀져도 줄어들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연말까지 엔·달러 환율이 160엔 안팎에서 거래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은 이제 일본 외환 당국이 환율 방어를 위해 추가 개입에 나설 것인지에 주목하고 있다.

간다 마사토 재무성 재무관은 엔화 약세와 관련해 이날 취재진에 “과도한 변동이 있다면 적절하게 대응하겠다는 방침에 변함이 없다”며 외환시장 개입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도 어느 정도 용인하는 분위기다. 전날 미국 재무부는 1년 만에 다시 일본을 환율관찰대상국 명단에 올리면서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는 않았다. 일본의 대규모 양자 무역과 경상수지 흑자 총액이 기준선을 웃돌았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면서 4~5월 외환시장 개입에 대한 비판은 없었다.

한편, 국제결제은행(BIS)은 5월 엔화의 실질실효환율(Real effective exchange rate) 지수가 68.65로 역대 최저를 경신했다고 전날 발표했다. 실질실효환율은 한 나라 화폐가 상대국 화폐와 비교해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의 구매력을 가졌는지를 나타내는 환율로, 2020년 환율을 100으로 정해 수치가 100을 넘으면 기준 연도 대비 고평가, 100보다 낮으면 저평가된 것으로 해석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