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특화보험 더 뜬다…주담보 위주 개발로 가격경쟁력 살려야"

입력 2024-06-16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보험연구원, '여성 특화 건강 위험' 보고서

▲보험증서 이미지 (연합뉴스)

최근 여성을 위한 보험상품 판매량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주담보 중심의 개발을 통해 가격경쟁력을 더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보험연구원은 16일 '여성 특화 건강 위험' 보고서를 통해 과거에 비해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향상됨에 따라 여성의 보험 수요가 증가하고 보험소비자로서의 여성의 역할과이 크게 바뀌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올라가고 다양한 사회・구조적 원인으로 인해 여성의 초혼 연령과 평균 출산 연령이 지속해서 높아져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불임 및 난임, 노산에 따른 기형아 출산 위험이 커졌기 때문이다.

지난 4년 간 국내 불임 및 난임 시술 관련 진료비가 여성을 중심으로 상당폭 상승하면서 불임 및 난임 부부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했다. 이와 함께 불임 및 난임 시술 환자 수도 꾸준히 늘었다.

여성들은 남성과 달리 유방암・자궁경부암・자궁체부암・난소암 등의 암 질환과 산후우울증 등의 정신질환에도 노출돼 있다. 특히 해당 질환들에 대한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젊은 여성들의 암 발생률이 높아지는 추세다.

이에 보험사들은 건강보험을 중심으로 다양한 보험상품 유형에서 여성의 보장 수요에 부합하는 여성 특화 보험상품을 출시・판매하고 있다.

김석영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여성 특화 보험시장은 여성의 보험 가입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최근 출시된 여성을 위한 보험상품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는 점에서 밝은 성장이 예상된다"며 "향후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보장 수요변화를 빠르게 파악해 충족할 수 있는 연구・개발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여성 특화 보험상품은 특약 및 서비스 중심으로 담보가 제공된다는 한계가 있어 원하는 여성 특화 담보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보험료가 요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주담보 중심의 여성 특화 보험상품의 개발이 이뤄진다면 보장담보 및 가격 측면에서 상품의 효율성을 높이고 연령대별 보장수요를 세분화해 특화상품을 개발한다면 여 여성 특화 보험시장이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