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공동선언...‘핵심 광물 대화’ 출범, ODA 100억달러로 확대

입력 2024-06-04 18:13수정 2024-06-04 18: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윤석열 대통령과 아프리카연합(AU) 의장인 무함마드 울드 가주아니 모리타니아 대통령이 4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공동언론발표'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아프리카 국가들이 경제동반자협정(EPA)과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 체결로 교역 및 투자 협력을 확대한다. ‘핵심 광물 대화’를 출범해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하고 국제 무대에서 아프리카와의 협력도 강화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의 협력사업 마중물로 무상원조 지원 강화 등 100억 달러 규모로 공적개발원조(ODA)를 늘리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4일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장에서 아프리카연합(AU) 의장국 모리타니아의 모하메드 울드 셰이크 엘 가즈아니 대통령과 함께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본회의를 주재하고, 공동언론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정상회의의 의제는 크게 동반성장(Shared Growth)·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연대(Solidarity), 3S 3가지다.

동반성장·지속가능성·연대 의제로 논의

윤 대통령은 동반성장을 위해 경제동반자협정(EPA),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을 체결하기로 했다. 2019년 출범한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이행 지원을 위해 한국의 FTA 체결 및 디지털 정부 운영 경험을 공유한다. 또 도로, 철도, 교량, 항만, 공항 등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대규모 인프라 협력하기로 했다. 아프리카 인구 60%를 25세 이하가 차지하는 점을 고려해 교육에 대한 투자가 중요하다는 점에도 공감했다. 이에 '테크 포 아프리카(Tech 4 Africa)' 이니셔티브를

디지털 분야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으로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지속가능성에선 기후변화, 식량안보·농업, 보건·의료, 핵심 광물에 대해 해법을 모색하고 협력 방향을 제시했다. 핵심광물 협력에선 아프리카와 핵심광물과 관련해 포괄적 협력 논의를 위한 협의체인 핵심 광물 대화 출범을 선언했다. 한국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한 농업 및 그린 ODA를 통해 식량안보 및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협력 강화에도 뜻을 모았다.

윤 대통령은 "농업기술 전수와 농촌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K-라이스벨트 사업' 확장을 통해 식량자급률 제고에 기여하겠다. 과거 에볼라와 코로나19에 합심해 대응한 경험을 바탕으로 보건 분야의 도전에 함께 대처하겠다"고 설명했다.

안보를 위한 연대도 재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이 유엔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으로서 2024~2025년 임기 동안 아프리카와 국제 무대에서의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공동선언문에는 'A3(유엔 안보리 내 아프리카 비상임 이사국)와 함께 적절할 경우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모든 일원이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원칙에 뜻을 모았다.

윤 대통령은 이번 공동선언에 대해 "'함께 만드는 미래'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며 "한국과 아프리카가 함께 만드는 미래를 향한 협력의 나침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논의된 의제와 공동선언에 포함된 협력 사업이 순조롭게 이행될 수 있도록 한·아프리카 경제협력회의(KOAFEC) 및 농업장관회의 등 분야별 고위급 협력체를 적극 가동할 방침이다. 2030년까지 100억 달러로 ODA 규모를 확대하고, 한국 기업과 아프리카의 무역 및 투자 촉진을 위해 2030년까지 약 140억 달러 규모의 수출금융을 한국 기업들에 제공할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2026년 한·아프리카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해 이번 정상회의 성과를 점검하고, 차기 정상회의 개최 방안도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46건의 협정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이번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는 48개국 정상 및 대표와 4개 국제기구 대표 등 모두 52명이 참여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래 최대 규모의 다자 정상회의다. 대통령실은 "한·아프리카 대화의 수준을 최고위급으로 격상하고 정상 차원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5일에는 '2024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서밋'이 열린다. 행사 기간 한·아프리카 청년 스타트업 포럼, 글로벌 ICT 리더십 포럼, 관광 포럼, 농업 콘퍼런스 등 13개 부대행사가 개최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