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 포항 140억 배럴 가스 상업생산 최대 수혜…영업이익 증가’

입력 2024-06-04 08: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동해 가스전 (사진제공=한국석유공사)

동해 포항 앞바다에 석유·가스 140억 배럴 매장 가능성이 나온 가운데 한국가스공사가 가스전의 부존량을 확인 후 생산된 천연가스를 국내로 도입하는 상업생산 진행 과정에서 수혜를 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한국가스공사는 천연가스의 운반, 보관, 유통을 위해 추가적인 설비 투자를 집행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4일 KB증권은 "한국가스공사가 국내 공급을 목적으로 투자하는 광구들은 규제 광구로 분류되며, 광구의 수익과는 관계없이 안정적인 이익 증가를 보장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다. 다만 초과이익은 가스요금 인하 재원으로 사용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동해 포항 앞바다에 35억~140억 배럴 규모의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을 제시하며 실제 매장 규모 파악을 위한 탐사 시추 계획 승인을 전날 발표했다. 올해 하반기 탐사시추가 개시되며, 내년 상반기 중 결과가 도출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2027년 공사 시작, 2035년 상업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과거 남미 가이아나 심해 가스전은 4~5년 만에 가동을 시작한 바 있다. 정부에 따르면 해당 가스전의 매장량은 25년 동안 생산을 가정했을 때, 국내 원유 수입의 13%를 대체 가능하며, 가스 자급자족이 가능한 규모로 알려졌다.

이는 국내 수요를 기준으로 했을 때 원유 4년 치와 가스 29년 치에 해당하는 매장량이다. 실제로, 작년 기준 원유 35억b은 국내 정제량의 3.5년 치, 내수 수요의 4.1년 치에 해당한다. 투자비는 추산이 어려우나, 정부가 발표한 과거 동해 가스전 개발 비용은 1조2000억 원이었다. 이를 140억 b 규모 기준 단순 계산 시 373조 원이나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면 소폭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전우제 KB증권 연구원은 "과거 동해 1, 2 가스전에서 2004년부터 2021년까지 18년간 한국가스공사가 국내로 도입한 천연가스는 연평균 35만 톤"이라며 "반면 신규 동해가스전에서 기대할 수 있는 천연가스 부존량은 연평균 1463만~5852만 톤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가스공사의 연평균 천연가스 판매량이 3556만 톤, 국내 연평균 천연가스 도입량이 4440만 톤이라는 점을 감안 시 천연가스 수요의 대부분을 공급 가능한 수준"이라며 "생산된 천연가스를 국내로 도입하는 과정에서 한국가스공사는 천연가스의 운반, 보관 및 유통을 위해 추가적인 설비 투자를 집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정부에 따르면, 부존량 확보 시 생산되는 천연가스는 한국가스공사가 100% 인수해 국내에 공급할 예정이며, 해외 수입 물량 대체 후 남은 물량은 외국에 판매한다. 탐사 및 시추 과정은 한국석유공사가 전담할 전망이다. 관련 투자 자본은 한국가스공사가 적정투자보수를 결정하는 요금기저에 포함되어 영업이익 증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