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대북 확성기 상시 시행 준비 갖춰”

입력 2024-06-02 19: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방송 재개 시간 오래 걸리지 않아”
북한 오물 풍선 살포 관련 대응방안

▲2일 경기도 시흥시 한 쇼핑몰 주차장에서 관계자가 북한이 살포한 것으로 추정되는 오물 풍선 잔해를 수거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 살포와 관련해 합동참모본부가 그 대응책으로 검토하고 있는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에 대해 상시 시행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합참 관계자는 이같이 밝히면서 “방송 재개에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주재한 후 브리핑에서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와 GPS 교란 행위는 정상 국가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저열한 도발”이라며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조치들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조치’의 의미에 대해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를 위해 필요한 절차는 당연히 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1963년 박정희 정부 때 시작됐으며 노무현 정부 당시인 2004년 남북 군사합의를 통해 중단됐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때 천안함 피격 도발(2010년)과 지뢰 도발(2015년), 북한의 4차 핵실험(2016년)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한 대응 조치로 일시적으로 재개되기도 했다.

대북 확성기는 최전방 지역 10여 곳에 고정식으로 설치돼 있었고 이동식 장비도 40여 대 있었지만, 2018년 4월 남북 정상이 합의한 판문점 선언에 따라 고정식 확성기는 철거됐다.

한 군 소식통은 “고정식 확성기는 철거돼 인근 창고에 보관 중인데 빠르게 재설치할 수 있다”며 “이동식 장비인 차량은 더 빨리 재가동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