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외화채권 발행 역대 최대…하반기 부담 요인은 유의해야"

입력 2024-05-29 13: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제금융센터, '2024년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시장 동향 보고서' 발간

올해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작년 동기 금액 규모를 추월했다. 하지만 하반기 미국 대선 등 부담 요인이 하반기 한국물에 작용할 가능성을 유의해야 한다는 전망도 나온다.

29일 국제금융센터가 발간한 '2024년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 규모는 24일까지 257억 달러를 기록했다. 246억 달러였던 전년에 비해 10억 달러 넘게 증가한 수치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퍼졌던 1월에 대규모(103억 달러) 조달됐다.

발행 주체별로 보면 공기업과 민간금융회사 발행이 전년동기대비 많이 늘어난 반면 국책은행과 민간기업의 발행은 감소했다. 1월 한국전력이 대규모 선조달(12억 달러)하고, LG전자가 19년 만에 발행한 것 외에는 대부분 만기도래 일정에 맞추어 차환 목적으로 조달했다.

통화별로 보면 달러화 비중이 84%를 차지하고, 유로화, 영국 파운드화 등이 소규모 발행됐다. 달러화 비중은 전년 대비 증가했는데, 외화 중 달러화가 가장 저렴하기 때문이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채권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전 세계적으로 모티브가 약화되면서 2021년 전체 한국물의 38%에서 올해 24%로 축소됐다. 작년에는 저소득층, 중소기업 대출 등에 사용되는 소셜본드의 비중이 ESG 채권의 절반을 차지했지만, 올해는 그린빌딩 투자 등에 사용되는 친환경 목적이 증가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윤경 채권분석부장은 향후 발행여건에 대해 "하반기 만기도래 규모가 많은 가운데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 전반적 조달여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전했다.

올해 한국물 만기도래액은 419억 달러로 416억 달러였던 작년과 유사하다. 1월 1일부터 5월 24일까지 167억 달러, 5월 24일부터 12월 말까지 252억 달러가 만기도래한다. 일부 기업들의 선발행과 국책 은행들의 외화수요가 작년 대비 감소한 점은 물량부담 완화 요인이지만, 하반기 만기도래액이 크고 11월 미국 대선 등을 앞두고 발행 가능한 윈도우가 줄어들며 7월 또는 9월에 집중될 가능성이 있다.

김 부장은 "연준이 금리 인하를 시작하더라도 예상보다 횟수가 줄어들면 국채금리 하락 폭은 제한적일 소지가 있다"라고도 설명했다.

현 시장 컨센서스인 연준의 9월 인하(올해 2회/내년 3회) 전망에 변화가 없다면 미 국채금리는 박스권내 등락(10년 4.2~4.6%)이 예상된다. 금리의 추가 하락을 위해서는 고용, 물가 등 경제지표의 둔화세 확인이 필요하다는 전망이다.

미국 대선, 주요국 통화정책 차별화 등으로 시장 변동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역사적으로 타이트한 스프레드의 추가 축소 여지는 제한적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과거 대선을 앞두고 있을 때 시장 변동성은 여름 중반을 넘어가면서 확대되기 시작했고, 주로 재정 확대(또는 감세)와 부채 증가의 기간프리미엄 상승 등이 영향을 줬다. 한편, 유로존도 국채 재투자 중단을 예정하고 있어 금융여건은 긴축적일 것으로 평가된다.

그는 "고금리 상황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신용 스프레드는 미국의 경제 연착륙 기대에 힘입어 축소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미-중 갈등, 미국 재정적자 확대, 일본의 통화정책 차별화 등이 한국물에 점차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라고 말하며 보고서를 마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