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尹-이종섭 통화에 “공수처 사실 규명하고 있단 것”

입력 2024-05-29 09: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장동혁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이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공천관리위원회 1차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장동혁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채 상병 순직 사건 조사 결과가 경찰로 이첩되던 날 윤석열 대통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3차례 통화한 것에 대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 신속하게 사실관계를 규명하고 있단 것”이라고 했다.

장 원내수석대변인은 29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과 이 전 장관의 통화 기록이 나왔다’는 질문에 “공수처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들을 잘 밝혀내고 있다면 특검을 자꾸 운운할 게 아니라 (공수처) 수사 결과를 잘 지켜보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최근 언론보도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8월 해병대 수사단이 채모 상병 순직 사건 기록을 경찰에 이첩한 당일 이 전 장관과 세 차례 통화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장 원내수석대변인은 전날(28일) 본회의가 열렸지만 비쟁점 법안을 처리하지 못한 이유가 특검법 방어에만 몰두한 국민의힘에 있단 지적엔 “그게 왜 국민의힘 잘못인지는 잘 모르겠다. 민생법안은 여야가 합의하면 된다”며 “민주당에서 본인들이 원했던 몇가지 법안을 직회부해서 처리했듯이, 민주당에서 의지만 가지면 어떤 법안이든 충분히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답했다.

그러면서 “특검법을 가지고 정쟁 삼은 건 민주당인데 그것 때문에 민생법안을 통과 못한 책임은 국민의힘에게 들어온다는 건 여러 상황상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이 22대 국회에서 채상병 특검법을 1호 법안으로 재발의할 것이라 예고한 점에 대해선 “아직 발의되지도 않았다”며 “변화나 여러 사정을 감안하지 않고 22대 국회 시작도 전에 특검법 발의와 표 단속에 대해서 논하는 건 맞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민주당이 22대 국회 시작도 전에 특검법이 부결되자마자 다시 특검법 발의를 운운하고 표 계산하고 이탈표 운운하는 것 자체가 기승전 정쟁용 법안이라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 원내수석대변인은 총선백서 발간 시점과 관련해선 “발간 시점은 중요치 않다고 생각한다”며 “발간 시점에 대한 논의가 나온 것 자체가 지금 총선백서가 공정하게 절차가 진행되고 있느냐에 대한 의문을 가지면서 문제가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총선백서를 왜 발간하는지, 어떤 내용이 담겨야 하는지, 어떤 절차를 통해 진행해야하는지 국민들과 당원들의 생각과 크게 괴리없이 잘 진행된다면 발간 시기는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