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파구가 없다…쌓이는 가계 빚에 ‘성장·수익·건전성’ 바닥 [카드·캐피털 수난시대上]

입력 2024-05-21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카드, 캐피털 등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은 올해 최대 시련기를 맞았다. 일각에서는 생존 위협의 기로에 직면했다는 말이 들릴 정도다. 카드사와 캐피털사 모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늪에 빠져 대규모 손실은 불보듯 뻔하고 고금리 속 조달금리 상승 등 최악의 영업 환경에 본업에서도 탈출구 찾기가 쉽지 않아서다.
가맹점 수수료를 14번 인하한 카드사들은 적격 비용 재산정 시기가 다가오며 다시 긴장모드에 들어갔다. 캐피털사의 경우 신사업 진출에 제약이 많은 만큼 먹거리 발굴이 여의치 않아 근근히 버티고만 있는 실정이다.

서민들 소비 줄이고 빚 상환 못하자
카드사도 수익 못 내고 대출 부실화
본업인 신용판매 수익률도 0%로 뚝
하나·우리·국민카드 연체율 2% 넘겨

고금리·고물가·고환율 3고(高)로 인해 가계 자금난이 가중되면서 카드사와 캐피털사들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금리 인상에 따른 조달 비용 및 마케팅 비용 상승과 연체율 급등까지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한 상태다. 여기에 가맹점 수수료 인하 가능성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부실 우려까지 어느 해보다 ‘악재’로 뒤덮여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가계 부채 부실이 현실화되면 카드사가 안정적으로 관리하던 재무적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경고한다.

20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7개 카드사의 이용실적 대비 신용판매 수익률은 2014년 1.27%에서 지난해 말 0.53%로 60% 넘게 하락했다. 신용판매는 카드사가 일시불과 할부거래 등에 대해 고객에게 신용공여를 제공하는 것으로 카드사의 본업에 해당한다. 신용판매 수익률이 하락한 것은 카드사의 본업 경쟁력이 약화한 것을 의미한다.

반면 카드 이용실적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신용카드 이용실적은 999조 원으로 전년 대비 58조 원 증가했다. 2018년 724조 원이었던 이용액은 △2019년 760조 원 △2020년 769조 원 △2021년 834조 원 △2022년 941조 원으로 매년 늘었다. 이용실적은 1000조 원을 목전에 두고 있는데, 막상 이로 벌어들이는 수익성은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고금리 장기화로 자금 조달 비용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어 걱정은 더 커진다. 카드사들은 자금조달의 70% 이상을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에 의존한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17일 기준 여전채(AA+·3년물) 금리는 3.742%로 집계됐다. 2%대였던 과거와 비교하면 높은 수치다.

이로 인한 이자비용도 크게 늘었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7개 전업 신용카드사 합산기준 이자비용은 3조8000억 원으로 2년 새 1조9000억 원 증가했다. 대손 비용도 2023년 기준 3조6000억 원으로 1조5000억 원 커졌다. 카드수익 증가 폭인 2조6000억 원보다 이자와 대손 비용 증가 폭이 더 큰 것이다.

고금리 속 가계 이자부담이 커지면서 고스란히 카드사의 대출 부실로도 이어지고 있다. 삼성카드(1.16%)를 제외한 카드사 모두 연체율이 전년 말 대비 상승했다. △하나카드(2.3%) △우리카드(2.28%) △KB국민카드(2.14%)의 경우 1분기 연체율이 2%를 넘겼다. 이어 △롯데카드(1.94%) △신한카드(1.82%) △현대카드(1.04%) 순으로 나타났다.

사상 최대치를 넘기는 가계부채 규모와 장기화된 고금리 상황에서 카드사가 버티기 위해서는 대출관리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가 강화되고 고금리 상황까지 겹치면서 서민들의 상환 여력이 많이 떨어져 카드사 등 2금융권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서 교수는 “DSR 제도가 부동산 대출을 규제하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오히려 실수요 자금으로 이용되는 카드론에 적용되다 보니 리볼빙 쪽으로 풍선효과가 심해져 카드사가 연체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곽노경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실장은 “가계의 부채부담이 소비 둔화를 일으키고 자산건전성 저하가 지속된다면 신용카드사의 실적은 저하될 수밖에 없다”며 “카드론 등 대출성 상품의 경우도 가계부채 관리 강화와 건전성 저하를 고려하면 수익성 개선 가능성은 제한적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