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램 내 HBM 매출 비중, 올해 20%까지 오른다

입력 2024-03-18 16: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삼성전자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 '샤인볼트'(왼쪽)와 SK하이닉스 5세대 HBM 'HBME'(오른쪽) (자료출처=각 사)

전 세계 D램 매출에서 HBM(고대역폭메모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올해 20%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8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HBM 매출이 전체 D램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6%, 8.4%에서 20.1%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기간 전체 D램 매출은 2022년 800억 달러, 2023년 518억달러, 2024년 말 기준 842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트렌드포스는 "HBM의 높은 평균판매단가(ASP)와 수익성 때문에 메모리 부문에서 많은 투자가 이뤄졌다"며 "올해 HBM의 연간 비트그로스(비트 단위로 환산한 생산량 증가율)는 260%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HBM 시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사실상 양분하고 있다. 4세대 HBM인 HBM3의 경우 SK하이닉스가 90% 이상을 점유했다.

트렌드포스는 지난해 웨이퍼 기준 HBM 생산능력(캐파)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각각 월 4만5000장, 마이크론 월 3000장으로 집계했다.

이어 올해는 삼성전자 월 13만 장, SK하이닉스 월 12만∼12만5000장, 마이크론 월 2만 장 수준으로 각각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