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인구 50% 이상 수도권에 몰려
지난 20년간 수도권 등 국내 모든 권역의 도시 면적과 도시화율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소년 100명당 고령인구 수를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강원이 가장 높았다.
통계청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통계적 지역분류체계로 본 도시화 현황'을 26일 발표했다.
통계청 지역분류체계 작성은 인구 격자 표시 및 군집화(유형), 군집화 유형 분류, 통계적 지용 분류 등 4단계로 진행됐다.
우선 1㎢ 면적에 1천500명 이상의 거주자가 있는 곳에 인구 격자를 표시하고, 지리적 인접성을 고려해 인구 격자 면적을 묶는 방식으로 군집화한다.
이후 격자 인구 및 군집화 인구 규모에 따라 군집화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한다. 격자 내 인구 1천500명 이상·군집화 인구 5만명 이상은 도심, 격자 내 인구 300명 이상·군집화 인구 5천명 이상은 도심 클러스터, 나머지 지역은 농촌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군집화 유형은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다시 재분류된다. 행정구역 인구의 50% 이상이 1개 이상의 도심에 거주하면 도시, 행정구역 인구의 50% 미만이 도심에 거주하면 준도시, 행정구역 인구의 50% 이상이 농촌에 거주하면 농촌으로 분류된다.
이 기준에 따라 도시화 현황을 살펴보면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도시 면적은 수도권과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강원권, 제주권 등 모든 권역에서 증가했다.
도시 인구는 수도권과 충청권, 경상권, 강원권, 제주권에서 늘었으나 전라권에선 줄었다. 도시인구 중 50% 이상은 수도권에 거주했고, 이어 경상권(24.5%), 충청권(10.0%), 전라권(8.4%) 순으로 도시인구가 많았다.
수도권은 도시 인구와 도시 면적 비율, 도시화 비율, 도시 집중도 등 도시화 현황 관련 모든 지표가 증가했다.
도시화율과 노령화지수는 모든 권역에서 상승했다. 노령화지수의 경우 2000년 전국적으로 25.3이었으나 2021년에는 4배 넘는 120.5로 대폭 확대됐다.
수도권은 2000년 24.5에서 2021년 121.3으로 상승해 전국 평균치를 웃돌았다. 전국 권역 중에선 강원권이 138.3으로 가장 높았고, 경상권(133.7)이 뒤를 이었다. 충청권(93.1)과 제주권(96.6)은 낮은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