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은퇴 나이 평균 55세…노후에 필요한 '최소생활비' 월 251만원"

입력 2023-11-26 09:01수정 2023-11-26 09: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KB금융그룹)

한국인들의 희망 은퇴 나이는 평균 65세지만, 실제 은퇴하는 나이는 평균 55세로 나타났다. 노후의 기본적인 의식주 해결 비용인 '최소생활비'는 251만 원, 기본적인 의식주 외에 여행, 여가활동, 손자녀 용돈 등을 줄 수 있는 '적정생활비'는 월 369만 원을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KB금융그룹이 발간한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를 '아직 시작하지 못했다'는 응답자가 52.5%에 달했다. 대다수가 노후에 대한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노후생활 대비 준비 상황'을 살펴보면 한국 가구는 행복한 노후생활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건강'(35.7%)과 '경제력'(30.1%)을 꼽았다. 은퇴 전 가구(35.2%)보다 은퇴 가구(40.7%)가 '건강'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1인 가구(31.3%)는 부부 가구(29.0%)보다 '경제력'을 더 중요한 요소로 선택했다.

'노후 거주지 선택과 관련한 니즈'에서는 은퇴 전 가구의 경우 노후 거주지의 주요 인프라로 '의료시설이 잘 갖춰진 곳'을 꼽은 반면(65.7%), 실제로 은퇴한 은퇴 후 가구는 '은퇴 전 거주지에서 거주'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42.6%) 나타났다.

고령자가 이제까지 살아온 지역 사회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어하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6.2%가 동의했다. 내 집에서 노후를 보내는 데 있어 가장 큰 걱정 거리는 '배우자나 가족 간병'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2.5%로 많았다.

'부부가구의 노후 준비 상황'을 살펴보면, 전반적인 노후생활 준비 정도를 1점(전혀 준비되어 있지 않다)에서 7점(매우 잘 준비되어 있다)으로 측정했을 때 '자녀가 있는 부부가구'의 노후생활 준비 정도는 3.89점으로 '자녀가 없는 부부가구'(3.48점)보다 더 높았다.

'자녀가 없는 부부가구'는 평균 3.1개의 연금을 보유해 '자녀가 있는 부부가구'의 2.3개보다 많았으며, 향후 '주택 연금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률은 26.8%로 '자녀가 있는 부부가구'(18.5%)보다 높았다.

황원경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박사는 "기대 수명 연장, 부양 의무에 대한 인식 변화, 가구 유형 다양화 등으로 맞춤형 노후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노년기에도 살던 지역에서 계속 살기를 희망하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 니즈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주택 신축이나 개조 등을 허용하는 제도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1월 3일부터 27일까지 서울을 비롯한 전국 주요 도시에 거주하는 20~7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