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원·달러 환율 1345원 전망…엔·달러는 151엔 예상"

입력 2024-06-01 07: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달러 강세에 기타통화 외화자산액 환산액이 감소하면서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한 달만에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2024년 4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132억6000달러로 전월말(4192억5000만 달러)보다 59억90000달러 줄었다. 지난해 10월(4,128억7천만달러)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이날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원·달러 환율이 3분기에 1340원 중반에서 등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신윤정 교보증권 연구원 최근 '2024년 하반기 환율 전망' 보고서를 통해 원·달러 환율이 3분기에 1345원을, 4분기에 1335원을 각각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엔·달러는 3분기에 151엔, 4분기에 148엔으로 각각 예상했다.

신 연구원은 "달러의 경우, 연준의 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안전자산 수요가 약화되고 내수 중심의 견조한 경제 성장 기대감이 조정되면서 레벨 하향 조정될 것으로 판단한다"며 "다만, 이번 금리 인하 움직임이 '보험적' 성격을 가지고 있고 해외투자와 美대선 등 추가 상방 압력 이슈들이 유효해 달러의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신 연구원은 하반기에 원화에 대해 "달러가 레벨 조정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며 "더욱이 AI를 중심으로 수출 모멘텀이 가시화되면서 외수 중심의 경제 성장이 원화 절상 움직임에 힘을 더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내다봤다.

다만 원화의 큰 폭의 강세 기대감을 형성하기 어려운 배경으로 △미국과의 금리차가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한국은행 역시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모색(당사 8월 전망) △내수가 부진함에 따라 저성장 기조 이어지고 있음 △한국 내 달러 수요 유효 등을 꼽았다.

신 연구원은 "원화 약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확보, 제조업 업황의 점진적인 개선 등은 한국의 외수 기반 성장이 하반기까지 모멘텀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했다.

다만, 국내 내수 회복지연에 따른 저성장은 원화의 절상 정도를 제한할 것으로 봤다.

신 연구원은 "가계는 고금리 부담에 신용증가율이 마이너스를 이어가는 등 신용 창출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며 가계부채는 빠른 속도로 상승해 팬데믹 기간의 연체율을 크게 상회했다"며 "현재 물가 레벨이 많이 내려온 것 대비 소비 심리가 개선되지 못한 상황에서 가계가 신용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는 만큼 금리인하 뒤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소비 확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다"고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