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99 검증위 “초전도체 아니다…마이스너 효과 없어”

입력 2023-08-03 17: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퀀텀에너지연구소에 검증 샘플 요청해

▲(연합뉴스)

국내 초전도체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최근 국내 연구진이 상온 초전도체라고 주장한 물질 ‘LK-99’를 검증한 결과 상온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퀀텀에너지연구소가 LK-99 샘플을 제공할 경우 교차검증에 나설 것이란 입장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학회는 3일 “LK-99가 초전도체의 특징인 마이스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LK-99를 만든 퀀텀에너지연구소 측은 검증을 위한 샘플 제공 요청도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투고한 논문이 심사 중이라 심사가 끝나는 2~4주 후 받을 수 있다고 전달한 것.

학회가 구성한 LK-99 검증위원회는 초전도 현상에 대해 특정 물질이 전기 저항이 없어지고, 내부 자기장을 밀어내는 ‘마이스너 효과’를 보이는 것을 뜻한다고 설명하면서, LK-99와 관련한 영상과 논문에서는 이 마이스너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앞서 퀀텀에너지연구소가 지난 3월 공개한 영상에서 나오는 LK-99를 매달아 두고 자석을 가져다 대면 반발하는 모습은 구리와 같은 초전도체가 아닌 물질도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또 초전도체가 공중에 부양된 채 고정되려면 마이스너 효과와 함께 초전도체가 자석 위 특정 위치에 머무른 채 고정되는 ‘자기 선속 고정(플럭스 피닝)’ 효과가 나타나야 한다고 검증위는 설명했다.

LK-99의 경우 자석 위에 떠 있는 영상은 항상 일부가 자석에 붙어 있고 움직인 후 진동하는 모습을 보이는 만큼 자기 선속 고정 효과와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또 논문의 데이터도 일반적 초전도체 그래프와 다르다고 검증위는 주장했다.

저항 그래프에서는 임계온도 부근에서 금속의 온도-저항 그래프 형태를 따르고, 자화율 역시 일반 초전도체는 임계온도에서 0으로 돌아오지만, 이 물질은 음의 수치를 보인다는 것이다.

다만 검증위는 퀀텀에너지연구소가 LK-99 샘플을 제공하면 교차검증을 진행하겠다고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퀀텀에너지연구소에 샘플 제공을 요청한 상황이나, 연구소 측은 투고한 논문이 심사 중으로 심사 완료 후 제공할 수 있다고 답변했다.

검증위는 “심사는 2~4주 걸린다고 하고 더 늦어질 수도 있다고 한다”며 “재차 샘플 제공을 부탁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