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ㆍ과일ㆍ유제품 등 식량 생산 차질
에너지 운송비 늘어 물류도 타격
ECB "2035년 식품물가 상승률 3%p"
지구촌 곳곳에 발생한 폭염이 글로벌 경제 회복세에 최대 복병으로 떠오르고 있다. 폭염으로 각국 농산물 작황에 비상이 걸렸고, 각종 시스템 생산성 저하도 경제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점점 뜨거워지고 있는 지구의 날씨가 물가를 끌어올리는 이른바 ‘히트플레이션(heatflation·폭염+인플레이션)’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29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와 유럽연합(EU) 산하 기상정보기관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 서비스’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3일까지 3주간 세계 평균 지표면 기온을 관측한 결과 섭씨 16.95도를 기록, 기존 최고치인 2019년 7월의 16.63도를 훌쩍 뛰어넘었다.
특히 이달 3일부터는 매일 2016년에 기록한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두 기관은 사실상 올해 7월의 세계 평균 기온이 관측 사상 최고치이자 ‘12만 년’ 만에 가장 뜨거운 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역대급 폭염은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기후학자이자 미 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연구소 소장인 개빈 슈미트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워싱턴 나사 본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2024년 더 극심한 폭염이 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록적인 폭염은 가장 먼저 글로벌 식품 인플레이션 위협으로 돌아오고 있다. 세계 쌀 수출의 40%를 차지하는 최대 수출국인 인도는 이달 중순 돌연 일부 쌀 품목 수출을 금지하며 아시아 지역의 쌀 가격을 3년여만의 최고치로 끌어올렸다.
일각에서는 인도가 수출 금지 항목을 더 늘릴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러시아의 흑해 곡물 수출협정 중단으로 밀 가격이 지난주 초 5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한 상황과 맞물리면서 우려가 더 커지게 됐다. 국제통화기금(IMF)은 흑해 곡물 수출협정 중단으로 세계 곡물 가격이 최대 15% 치솟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위기관리 자문업체 베리스크메이플크로프트는 올해 3분기 글로벌 사회불안 지수가 2017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업체는 사회불안지수 증가에 대해 폭염과 생활비 상승을 가장 큰 이유로 꼽으며 “높은 식료품 가격 상승률이 특히 위험하다”고 말했다.
또 유럽중앙은행(ECB)은 5월 발표한 ‘지구온난화의 인플레이션 영향’ 보고서를 통해 2035년 기후위기가 세계 식품 물가 상승률을 3.0%포인트(p), 전체 소비자물가를 1.0%p 높일 것으로 관측했다.
폭염이 미국에서부터 중국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농장을 강타하면서 과일과 유제품 생산에도 차질이 발생, 인플레이션 압력을 키우고 있다. 물류 시스템도 폭염으로 정상적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는 에너지 운송 비용 증가를 촉발해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을 자극하고 있다.
폭염은 노동 생산성과도 직결된다. 미국 UCLA대학 연구에 따르면 평균기온이 1도 상승할 때마다 노동 생산성은 2% 떨어진다. 미국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은 2021년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폭염으로 인한 노동 생산성 손실액이 미국에서만 연간 1000억 달러(약 128조 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유가 상승도 우려스럽다. 미국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26일 미국 내 휘발유 가격이 전날 대비 5센트 오른 갤런당 3.69달러를 기록했다. 하루 상승 폭으로는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높다.
석유기업 엑손모빌의 대변인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정유공장도 폭염 속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가 없다”며 “폭염 이후 허리케인 시즌이 오면 휘발유 값은 갤런당 4달러 이상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식료품과 유가 상승은 최근 가라앉고 있던 국내 소비자물가에도 치명적이다. 정부는 다음 달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 여부를 결정한다. 10월부터는 우유 가격도 오른다. 우유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제과·제빵·빙과·카페업계 모두에 영향을 끼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최근 물가상승률은 낮아졌으나 물가수준 자체는 여전히 높다”며 “가계의 구매력이 위축되면서 실제 소비가 크게 개선되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