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밥 사먹을 돈도 없는데 저축은 무슨” 청년 4명 중 1명 꼴로 적금 깼다

입력 2023-06-21 15:36수정 2023-06-21 16: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리 연 10%’ 청년희망적금 4명중 1명 중도해지...68만명 이탈

#20대 대학생 A씨는 지난해 2월 가입했던 청년희망적금을 최근 해지했다. 두 달 전 아르바이트를 그만두면서 일정한 수입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A씨는 “식비, 전기요금 등 생계 필수비용이 많이 오른 데다 고정적 수입이 없어지면서 월 10만 원의 적금이 버거워졌다”면서 “적금금리가 높아 매력적이긴 하지만 당장 치솟는 대출 이자 갚기도 빠듯해 어쩔 수 없이 해약했다”고 토로했다.

주머니 사정이 나빠진 청년층 가입자 4명 중 1명은 연 최고 10%대의 금리 효과를 내는 ‘청년희망적금’을 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금리에 출시 당시 가입 신청이 폭주했을 정도로 선풍적 인기를 얻었던 이 적금을 중도에 해지한 청년이 70만명에 육박했다. 고금리, 물가상승 여파 속에 삶이 팍팍해지자 목돈 마련을 포기하고 있는 셈이다.

21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제출한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에 따르면 해당 상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최초 가입자는 289만5546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달 기준 중도 해지자 수는 68만4878명(23.7%)에 달했다. 가입자 4명 중 1명꼴로 중도 이탈한 것이다.

소액일 수록 해지율이 높았다. 10만 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 해지율이 49.2%로 가장 높았다. 이어 △10만 원 이상~20만 원 미만 48.1% △20만 원 이상~30만 원 미만 43.9% △30만 원 이상~40만 원 미만 40.3% 등의 순이었다. 납입 한도인 50만 원을 꽉 채워 납입한 청년들의 경우 중도 해지율이 14.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나이가 어린 청년층에서 중도 이탈자가 많았다. 가입 하한 연령인 만 19세의 해지율이 27.9%에 달한 반면 상한 연령인 만 34세는 21.2% 였다.

문재인 정부에서 출시한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 3600만 원 이하 만 19~34세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정책 금융 상품이다. 만기 2년 동안 매달 50만 원 한도로 납입할 경우 정부 지원금(저축 장려금)까지 합쳐 연 10% 안팎의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인기는 폭발적이었다. 당시 정부는 가입자 규모를 38만 명으로 예측했으나 300만 명에 가까운 가입자가 몰렸다. 연 10%대의 고금리 메리트가 제대로 통한 것.

하지만 고물가·고금리에 저축 여력이 줄고 지출 변수가 많은 20·30 세대의 급전 수요가 맞물리며 적금을 깨는 청년층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대 36만 원의 정부 지원금이 만기 시 한꺼번에 지급되는 구조라 매달 쌓이는 이자 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운 측면도 중도 해지율을 높였다는 시각도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윤석열 정부가 최근 출시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 해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5년 간 매달 70만 원 한도로 적금하면 지원금(월 최대 2만4000원) 등을 더해 5000만 원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다. 금융당국은 청년도약계좌 적금 유지율 목표치를 70%대 중반으로 잡고 있다. 또한 청년적금처럼 중도해지 비율이 높아지지 않도록 추가적인 적금 유지 방안을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