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10곳 중 7곳 “올해 투자 지난해 수준 유지될 것”

입력 2023-04-28 13: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견련, ‘2023년 중견기업 투자 전망 조사’ 결과 발표

(사진제공=한국중견기업연합회)

중견기업 10곳 중 7곳은 올해 투자가 지난해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확대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전망한 곳은 10곳 중 1곳에 불과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28일 발표한 ‘2023년 중견기업 투자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4%는 올해 투자 규모가 지난해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라고 봤다.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한 중견기업은 15.5%,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본 중견기업은 10.5%였다.

투자 확대를 전망한 중견기업은 ‘기존 사업 확장(47.1%)’, ‘노후 설비 개선·교체(24.3%)’, ‘신사업 진출(21.4%)’ 등을 투자 증대 요인으로 꼽았다.

중견기업들은 ‘기존 설비 개‧보수(47.0%)’, ‘신규 설비 도입(20.3%)’, ‘R&D 투자(11.6%)’, ‘공장 등 산업 시설 신·증설(10.6%)’ 등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를 진행할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 중견기업은 올해 R&D 및 설비 투자 규모를 지난해 2조 8000억 원에서 소폭 늘어난 3조 원으로 전망했다.

▲2023년 중견기업 투자 전망 (사진제공=한국중견기업연합회)

R&D 투자는 2022년 8147억 원에서 2023년 8781억 원으로 7.8%, 설비 투자는 2022년 2조 574억 원에서 2023년 2조 1221억 원으로 3.1%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중견기업들은 지속적인 투자 확대를 위한 1순위 선결 과제로 ‘자금조달 애로(44.2%)’를 꼽았다. ‘인‧허가 등 복잡한 행정 절차(16.9%)’, ‘노동‧고용 규제(12.1%)’, ‘환경 규제(9.7%)’, ‘공장 신‧증설 관련 입지 규제(8.1%)’ 등이 뒤를 이었다.

중견기업은 투자 활성화를 위해서는 ‘금융 지원 확대(22.4%)’, ‘물가 안정 및 내수 시장 활성화(22.0%)’, ‘투자·R&D 등 세제 지원 강화(16.4%)’, ‘기업 규제 완화(12.7%)’, ‘금리 인상 속도 조절(12.5%)’, ‘노동·고용 규제 완화(7.2%)’, ‘인력 수급 해소(6.5%)’ 등 정부의 전 방위적인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중견련 관계자는 “중견기업 보증 한도가 1998년 이후 25년간 제자리인 데서 보듯 중견기업은 오랫동안 금융 지원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며 “민간 투자를 견인해 한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기업의 유동성을 높이는 지원 정책이 무엇보다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IMF, 세계은행 등 주요 경제기구들이 3% 미만의 ‘잿빛 세계 경제 전망’을 내놓는 상황에서도 90%에 가까운 중견기업이 지속 성장을 위한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응답한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민간주도성장의 핵심 주역으로서 지난 2월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 출범한 ‘중견기업 투자 애로 전담반’을 중심으로 중견기업의 투자 애로를 적극 발굴하고 불합리한 규제를 해소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