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 기업ㆍ복합 위기에 부실징후기업 1년 새 15% 증가

입력 2022-12-19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료 제공=금융감독원)

한계 기업이 증가하고 복합 위기까지 겹치면서 부실징후기업이 25개사 증가했다. 증가분 모두 중소기업으로 조사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는 더 벌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2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올해 185개사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됐다. 이 중 대기업은 2개사, 중소기업은 183개사로, 대기업은 지난해보다 1개사 감소했지만, 중소기업은 26개사 증가했다. 등급별로는 C등급 84개사, D등급 101개사로 1년 새 각각 5개사, 20개사 증가했다.

코로나19 중 부실징후기업이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올해 들어 다시 증가해 2018년 수준을 기록했다. 기계장비업이 20개사(10.8%)로 가장 많았고, 금속가공 16개사(8.6%), 부동산 15개사(8.1%), 도매, 상품중개 13개사(7.0%) 등이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9월 말 기준 1조5000억 원 수준이다. 금감원은 “국내 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예정”이라며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약 1367억 원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이에 따른 BIS 비율 변화 폭은 0.01%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은 워크아웃 신청기업에 대해 기업 자구 노력을 전제로 채권단 금융지원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산업부, 중기부 등 기업지원 제도에 은행권 참여를 확대해 금융 지원 외에도 사업 구조 개편, 진로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을 동시에 가동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