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공기관 중 ‘온실가스 측정’은 단 2곳…산업·기업은행 빼고 "나몰라라"

입력 2022-10-05 09: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시스)

금융 관련 공공기관 17곳 중 금융배출량(투자·계약한 기업이 내뿜는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한 곳은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단 두곳에 불과했다.

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장혜영 의원은 ‘금융관련 공공기관 기후 공시 현황 및 과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등 13개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과 산업은행·수출입은행·기업은행 등 총 17곳 가운데 산업은행과 기업은행만 스코프3(금융배출량)을 측정했다.

스코프(scope)란 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을 단계별로 측정하는 것으로, 3단계로 구분한다. 스코프1은 제품 생산 단계에서 발생하는 직접 배출, 스코프2는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기와 동력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접 배출, 스코프3은 직접적인 제품 생산 외에 협력 업체와 물류는 물론 제품 사용과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배출을 의미한다. 스코프3까지 측정한다는 것은 기업 활동으로 야기되는 모든 온실가스 배출량을 공개하고 이를 기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 부문은 제조를 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배출량 보다 투자나 자산운용을 통한 배출량이 더 많다. 때문에 관련 내용을 산출조차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실제 기후변화 위험을 인식하고 있다고 답변한 공공기관은 6개에 불과했다. 그러나 전 세계 기업들은 기후대응 압력에 스코프3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는 장기전략을 수립해 자체 측정과 외부 기관 인증을 받아가는 추세다. 금융권 역시 투자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측정해 과배출 산업의 좌초자산 우려 등 리스크 관리를 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보고서에는 공공기관의 ESG현황에 관한 내용도 담겼는데 기업은행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관련 채권 비중이 전체 발행 채권의 17%를 차지했다. 사업성격상 중소기업과 고상공인 지원이 주 업무인 기업은행의 사회적 채권 비중이 높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반면 대기업 등 산업계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도록 금융 유도를 하는 역할을 하는 산업은행은 4%에 그쳤다. 수출입은행은 9%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해 장혜영 의원은 "현재 금융 관련 공공기관의 기후변화 및 ESG 대응은 기대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라며 "공공기관 기후공시를 의무화 하고, 국민연금·산업은행 등 기후변화 대응 필요성이 매우 높은 기관에 대해서는 금융 배출량 감축목표를 설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