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중국 경제, 사상 최대 무역흑자에도 불안한 이유

입력 2022-08-16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대영 국제경제부 기자

중국이 7일 발표한 7월 무역수지 결과는 생각보다 좋았다.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2.3%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수출이 18% 증가했다. 수출은 시장 전망치인 14.1% 증가를 웃돌았다. 그 결과 1012억7000만 달러(약 132조 원)라는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했다. 1987년 해관총서가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대 규모다.

시장에선 대체로 “수입은 아쉽지만, 수출이 좋으니 향후 경기가 기대된다”는 평이었다. 이런 기대감에도 불안 요소가 있으니, 빈약해진 외국인 투자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지난달 들어 중국 채권시장에서 해외자본 유출은 6개월 연속 이어졌고, 외국인의 주식 투자는 4개월 만에 매도 전환했다. 이렇게 자본시장에서 빠져나간 금액이 한 달간 30억 달러에 달한다.

7월은 무역수지가 공개되기 전이었지만, 정부가 지독했던 제로 코로나 봉쇄 정책에서 한발 물러섰던 때였고, 특히 리커창 중국 총리가 지속해서 언론을 통해 경제 활성화를 피력한 이후였다.

그런데도 외국인들은 계속 떠났다. 이유는 뭘까. 고집스러웠던 제로 코로나 정책이 투자자 불신을 키웠고 미국과 상반된 통화정책 기조로 채권 수익성이 떨어진 문제가 있었다. 대만을 놓고 지정학적 갈등이 심화한 것과 무역수지에서 나왔듯 내수가 침체된 것도 불안 요소였다.

특히 중국은 지난달 경기침체 우려에도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하면서 투자자들의 불만을 낳았다. 밖에선 싸우고 안에선 통제와 고집으로 버티는 형국이다.

세계적인 경제 석학 애덤 투즈 역시 7월 무역수지가 공개되자 “무역흑자가 ‘차이메리카(상호 의존 관계에 있는 미국과 중국)’ 모델을 심화하기보다는 외국인 투자 후퇴와 함께했다”고 지적했다.

중국 당국도 뒤늦게 불안감을 감지했다. 인민은행은 부진한 경제지표가 발표된 15일 주요 정책금리를 인하하는 등 자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 해소에 나섰다.

다만 제로 코로나 정책과 3연임 준비에 몰두하고 있는 시진핑 체제에서 중국이 큰 변화를 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가을 당대회를 앞두고 코로나 성과를 공고히 하는 데 집중할 가능성이 있다. 이달 들어선 대만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추가적인 리스크까지 생겼다.

투자자들은 당장의 무역흑자에 반응하기보다는 향후 중국 정책의 방향과 외국인의 귀환 여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kodae0@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