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시대 가시화…졸속 개발은 경계해야”

입력 2022-04-21 16: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도심 육성 위한 통합 마스터플랜 필요
“서울시 차원 넘어, 국가와의 조율 있어야”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하더라도 졸속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해선 안 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첫 발제자로 나선 이희정 서울시립대 교수. (사진제공=대한건축사협회)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하더라도 졸속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해선 안 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제업무, 첨단산업, 주거복합 등 미래 융·복합적 도시혁신계획구역으로서의 통합적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21일 한국건축단체연합(대한건축사협회, 한국건축가협회, 대한건축학회)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전제로 한 용산지역 발전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서는 대통령실 이전이 용산지역 발전에 미치는 기대와 우려, 한계에 대해 논의했다.

첫 발제자로 나선 이희정 서울시립대 교수는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으로) 국제업무지구 및 주변 재개발 활성화 등을 통한 용산지역재생과 특별계획구역 지구단위계획 추진을 통한 지역 발전에의 시너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지난달 20일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 발표 후 서울 용산구 아파트값은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18일 기준) 용산구 아파트값 변동률은 0.03%를 기록했다. 지난달 넷째 주(0.01%)부터 4주 연속 상승했다.

차기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기조와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따라 지역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신고가를 기록한 아파트도 속출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이촌동 ‘정우’(전용면적 257㎡형)와 ‘현대맨숀’(전용 121㎡형)은 지난달 22일 각각 종전 최고가보다 10억6000만 원, 5억5000만 원 오른 24억6000만 원, 25억5000만 원에 거래됐다.

용산 지역발전에 무지갯빛 미래만 있는 것은 아니다. 대통령실 이전을 비롯한 여러 개발 호재가 있고 국민의 기대감이 높아진다고 해서 지나친 개발압력을 행사하면 안 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교수는 “개발압력과 지나친 기대가 자칫 공공과 민간 사이에서 통합적 합의라든지 체계적 관리가 이뤄지지 못 하게 해 바람직한 미래상 구현에 걸림돌이 되거나 미래 발전에 대한 잠재력을 상실하게 되는 우를 범할 수도 있다”며 “정책사업과 공간사업 간의 조화, 서울시와 국가 간의 조율, 건축과 도시·교통·환경이라는 사이에서 합의를 이끌어내는 통합적 거버넌스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경쟁력 있는 새로운 중심지로서의 계획이 진행될 수 있는 통합적 지역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