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쎌, KIST와 밸러스트 수처리 기술 특허 출원

입력 2009-02-26 14: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스닥 등록기업 하이쎌은 최근 전세계적인 해양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는 밸러스트워터(선박 평형수)의 수처리 기술을 KIST 이상협 박사팀과 공동 개발에 성공하고 동 기술을 특허 출원했다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라 하이쏄은 이노GDN의 자회사인 현대라이프보트를 통해 적극적인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밸러스트 수처리 시장은 향후 8년간 16조원규모로 세계 조선산업의 근간을 바꿀 정도의 규모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 과학자과 기술자들이 기술개발과 시장선점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분야이다.

밸러스트 워터(선박 평형수)란 배의 무게와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에 채우는 바닷물을 말한다. 유조선의 경우 원유를 하적한 후 빈 탱크에 하적지의 바닷물을 채워서(밸러스트 워터) 무게와 평형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하적지의 해양 미생물들이 밸러스트워터를 통해 이동하여 새로운 곳에 번식하게 됨으로써 해양생태계를 교란,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해양생태계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는 선박내 밸러스트 수처리 시설의 의무화를 규정한 바 있으며, 미국 오바마 대통령 행정부에서도 자체적인 각종 규제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이쎌 남상우 사장은 “이번 하이쎌과 KIST의 산학 공동연구 개발의 성과인 밸러스트 수처리 기술 개발은 필터분야의 권위자인 이상협 박사와, 폐수처리의 권위자 박완철 박사 및 멤브레인 분야의 권위자 전명석 박사 등 국내의 최고의 석학들이 팀을 이뤄 연구개발을 한 성과로서, 빠른 시일내에 세계선급 인증을 취득하여 이를 이노GDN의 자회사인 현대라이프보트를 통해 상용화에 나설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동사의 윤종선 대표이사는 “금번 출원한 특허는 기존에 오존 또는 전기분해방식에서 벗어나 GRE 파이프의 선형 및 물리적 필터방식을 최대한 활용하여 효율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한 기술이다”라며 “동 기술이 상용화되면 2차 오염에 대한 가능성이 거의 없어서 현존하는 경쟁기술보다 월등한 성능 및 경제성을 갖게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화물선 및 유조선의 최대 건조기지인 국내에서 동 처리장치가 개발이 되어 상용화 된다면 엄청난 규모로 성장할 해양환경 및 선박 시스템 시장에서의 시장선점에 있어서 상당히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