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 배팅 나선 동학 개미…이재명 신재생ㆍ중소형 건자재 vs 윤석열 원전ㆍ건설

입력 2022-03-08 16: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원전 vs 신재생주 대권 결과에 촉각…누가 되든 가상화폐 전망 밝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왼쪽)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뉴시스)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주식 시장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당선될 경우 중소형 건자재, 신재생, 내수 관련 종목이 수혜를 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반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될 경우 건설과 원전, 교육 관련주가 수혜를 입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내놓은 경제 관련 공약을 살펴보면 공통되는 부분은 ‘가상화폐’와 ‘쪼개기 상장 제한’, ‘주택 확대’ 등이다.

두 후보는 모두 가상자산투자 수익 비과세 구간을 연간 250만 원에서 5000만 원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가상자산업을 제도적으로 인정하겠다고도 했다. 어느 후보가 당선되든 가상화폐 거래소 운영사 측에서는 거래 확대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쪼개기 상장이란 주요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 상장하는 일이 빈번해지자, 기업가치 훼손과 소액주주 피해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주요 대선 후보들은 기업의 물적 분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액주주 피해 예방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김수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대선 후보들의 공약은 법제화를 통해 △물적 분할을 반대하는 소액주주들에게 반대매수 청구권 부여 (주식매수 청구권) △신설 자회사 기업 공개 시 모회사 주주에게 보유주식 수에 비례하여 우선 배정하는 내용”이라며 “이 사안들은 자본 시장법 시행령과 금융투자협회 규정 개정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두 후보 모두 부동산 대책으로 공급 확대를 내놓은 만큼 부동산 관련 업종도 수혜나 혜택이 있을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다만 이 후보는 공공 주도 공급 확대에 중점을 둬 중소형 건자재 업체가 유망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반해 윤 후보는 민간 주도 공급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형 건설주의 수혜가 점쳐진다.

원자력 발전에 대한 온도 차도 있다. 두 후보 모두 탈원전 정책을 재고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후보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강조했다.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업종에 관심이 쏠린다. 윤 후보는 소형모듈원전(SMR) 등 차세대 원전을 포함해 원전 의존도를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탈원전 정책으로 시들해진 원전 등 유틸리티주가 다시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두 후보의 개별적 공약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 후보 공약 중에서 ‘지역 화폐’ 강화와 ‘쿠폰’ 발행이다. 유사 업종에 수혜가 예상된다. 탈모 관련 공약과 돈 버는 게임(P2E)에 대한 긍정적 시각도 관련 업종의 수혜가 예상된다.

특히 이 후보는 분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내수(유통, 음식료, 의류 등) 관련주가 힘을 받을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반면 윤 후보는 분배보다 공정한 경쟁에 초점을 맞춰 교육주에 이목이 쏠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또 윤 후보는 바이오 특화지구인 오송-호창-대덕-익산을 잇는 신산업 벨트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재정지출 관련 주요 공약은 추경 예산안 규모, 부동산 공급 강화, 복지와 국방 등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재정운용과 준칙, 재원조달 등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며 “전통적인 인식을 감안하면 여당 정권 연장 시 직접적인 기준금리 인상 압박이 조금 더 이어질 여지가 있다. 반면 야당으로 정권 교체 시 민간 주도의 경제정책을 강조해 상승 압력은 상대적으로 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민주당이 국회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2년간 대선 공약의 현실화 가능성은 이 후보가 높아 보인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